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의 임상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됐다. 임상 결과 높은 안정성과 강력한 항체 반응이 확인됐다.
GC녹십자는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의 임상 2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백신’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배리트락스주는 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이다. 탄저균을 배양해 약독화한 균을 직접 주입하는 기존 백신과 달리 탄저균의 방어항원 단백질(PA)만을 주입해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를 만드는 방식의 백신이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고려대 안산병원, 순천향대 서울병원, 한림대성심병원 등 국내 5개 병원에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은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배리트락스주 투여군에서는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가 기준치 이상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탄저균 감염 상황에서도 인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강력한 백신 효과가 입증된 것이다.
이상 사례도 적었다. 임상의 안전성 평가에서 배리트락스주 투여군의 주요 이상 사례는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 권태 등 대부분 경미한 수준에 그쳤고 증상 역시 일시적이었다. 급성 이상 및 사망 사례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논문 등재에 핵심 역할을 한 강창경 서울대병원 교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에 연구 결과가 등재돼 그 가치를 다시 한번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필요할 경우 신속하게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다는 것도 배리트락스의 장점으로 꼽힌다. 약독화됐다 하더라도 미량의 독소 성분이 남을 수 있는 탄저균을 직접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안전성도 높다. 이번 임상의 연구책임자를 맡은 김남중 서울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국내 최초 재조합 탄저백신의 성공이 앞으로의 감염병 대응 연구와 백신 자급화에 의미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C녹십자는 3호 국산 신약 백신인 배리트락스주를 앞세워 국가 방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힘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재욱 GC녹십자 R&D 부문장은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배리트락스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며 “국산 탄저백신을 통해 국가 방역 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6 hours ago
3

![SK텔레콤 '새 수장' 정재헌 "통신·AI 둘 다 놓치지 않겠다" [종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01.42264221.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