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로 진격하는 日 성장동력 못 찾는 韓

1 week ago 4

증권

M&A로 진격하는 日 성장동력 못 찾는 韓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 미쓰비시상사는 17일 그리그시푸드의 연어 양식 사업을 약 10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며, 이를 통해 연어 양식 규모가 세계 2위로 올라섰다.

일본 기업들은 비핵심 자산 매각과 신성장 동력 확보에 적극적이며, M&A 증가세 속에서 일본 비중이 2021년 상반기 2.53%에서 올해 상반기 5.13%로 확대됐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높은 금리와 불확실성 등의 이유로 M&A에 신중한 상황으로, 주도적인 거래액이 크게 줄어들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저성장 극복 희비교차
日, 수조원대 빅딜 잇달아
글로벌 M&A 4년새 2배로
불확실성 휩싸인 韓기업들
거래규모·비중 모두 뒷걸음

◆ 격차 커진 한일 M&A 시장 ◆
일본 미쓰비시상사가 지난 17일 완전 자회사인 세르마크그룹을 통해 그리그시푸드의 연어 양식 사업을 약 10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로 미쓰비시상사의 연어 양식 규모는 세계 2위로 올라섰다.

인수·합병(M&A)에 보수적이었던 일본 기업들이 변하고 있다. 27일 시장조사기관 LSEG에 따르면 글로벌 M&A 시장에서 일본 비중은 2021년 상반기 2.53%에서 올해 상반기 5.13%까지 늘어났다. 같은 기간 한국 비중은 1.38%에서 1.27%로 소폭 감소했다. 최근 4년간 일본 M&A 시장이 두 배 가까이 성장하는 동안 한국 M&A 시장은 오히려 뒷걸음질한 것이다.

일본 기업은 정부가 주도하는 기업가치 제고 분위기 속에서 비핵심 자산 매각과 신성장 동력 확보에 적극적이다. 반면 한국 기업들은 M&A 자체엔 관심을 보이지만 국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어 실제 행동에 옮기는 데 주저한다.

일본은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주도하는 M&A도 크게 늘었지만, 기업 주도 M&A도 함께 증가했다. 기업 주도 글로벌 M&A 시장에서 일본 비중은 2.19%에서 3.70%로 늘어났다.

올해 일본 내 기업 주도 주요 M&A로는 소프트뱅크그룹의 미국 반도체 설계 기업 암페어컴퓨팅 인수(65억달러), 할인마트 대기업 트라이얼홀딩스의 대형 슈퍼마켓 세이유 인수(25억달러), 메이지야스다생명보험의 미국 리걸&제너럴 보험 사업부 인수(23억달러) 등이 있었다.

한국 기업 주도 M&A는 거래액으로 따져도 2021년 상반기 200억달러에서 올 상반기 60억달러 규모로 크게 줄어들었다. 조정민 보스턴컨설팅그룹(BCG) 파트너는 "높은 금리에 따른 자금 부담, 관세 불확실성, 석유화학·건설·전기차 시장 수요 불안 등으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지난해와 올해 매각이나 인수 실행에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고 진단했다.

[우수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