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 2025]“AI는 더 이상 도구 아닌 동료”... 글로벌 ICT 전망 콘퍼런스

1 week ago 7
WIS 2025 글로벌 ICT 전망 콘퍼런스WIS 2025 글로벌 ICT 전망 콘퍼런스

“이제 인공지능(AI)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함께 일하는 '동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월드IT쇼(WIS) 2025' 글로벌 ICT 전망 콘퍼런스에서 신용식 SK텔레콤 부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산업 전반에 걸친 AI 전환 가속화를 강조했다.

그는 “AI 에이전트가 직접 계약 초안 작성부터 의사결정 보조까지 수행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며 SK텔레콤이 추진 중인 'AI 워커' 전략을 소개했다. AI 비서, 컨택 AI, 마켓 인텔리전스, 제조 AI 등 네 축으로 구성된 이 전략은 고객 응대부터 생산 현장 대응까지 전 산업을 포괄한다.

신용식 SK텔레콤 부사장신용식 SK텔레콤 부사장

신 부사장은 특히 “AI가 단순한 반복 업무를 넘어 복잡한 분석과 의사결정까지 지원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며 기존 에이전트보다 한 단계 진화한 개념의 AI 워커를 강조했다. 제조업 고령화와 인력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SK텔레콤은 AI 도입을 통해 고객 상담, 인사, 마케팅, 제조 등 전 부문에서 실제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실현하고 있다.

이태희 삼성SDS AI연구팀 상무는 '에이전틱(Agentic) AI 시대의 개막, 지속 성장을 위한 준비'를 주제로 생성형 AI에서 자율형 에이전트로의 진화 동향을 소개했다.

이태희 삼성SDS AI연구팀 상무이태희 삼성SDS AI연구팀 상무

이 상무는 “에이전트 AI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해 실행까지 책임지는 존재”라며 단순한 콘텐츠 생성 능력을 넘어 '행동하는 AI'라고 정의했다. 그는 특히 LLM이 에이전트 두뇌 역할을 하며 실행은 API 호출, DB 조회 등으로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삼성SDS는 이 과정에서 중요도가 높아진 GPU 활용에 맞춰 인프라 전략을 구축 중이다.

이지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이지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

이지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AI 수용 방식과 생활 속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이어갔다. 이 부사장은 “젠지(Z세대)와 잘파세대는 AI와 함께 과제를 풀고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익숙하다”며 다양한 AI 툴을 큐레이션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새로운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AI는 우리의 일상을 더 빠르고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디지털 친구로 진화하고 있다”며 교육, 헬스케어, 금융, 농업, 건설 등 다방면에서의 초개인화와 자동화 사례를 소개했다.

전충재 더존비즈온 상무전충재 더존비즈온 상무

전충재 더존비즈온 상무는 기업 환경에서의 AI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전 상무는 “AI는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안에 이미 깊숙이 들어와 있다”며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하면 AI가 실시간으로 회계, 인사, 제조 데이터를 분석해 실행까지 지원한다”고 말했다.

더존비즈온은 '원AI'라는 자체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ERP 화면 자동 생성부터 보고서 작성, 정책 추천까지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있다.

전 상무는 “더존비즈온 AI는 챗GPT 같은 범용 AI와 달리 기업 전용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돼 있어 보안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갖춘 게 강점”이라며 “공공기관과 폐쇄망 환경을 위한 한국어 특화 모델 등으로 현장 중심 AI 전략을 실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정은 기자 jepark@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