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기아 사태 예정된 것”…이스라엘, 생존에 필요 식량의 4분의1만 반입 허용

1 day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가자지구 주민의 생존에 필요한 최소 식량량을 산출해왔지만, 최근 몇 달 동안 이 기준의 4분의 1도 안 되는 식량만 반입을 허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가자지구 인도적 상황은 기근 단계에 도달했으며, 유엔과 비영리단체들은 공급 부족과 극심한 제한을 경고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약탈과 유엔 배급 실패 등을 이유로 기아 확산에 대한 책임을 거부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가자지구 주민들이 구호식량을 받기 위해 모여있다. [사진 = Reuter]

가자지구 주민들이 구호식량을 받기 위해 모여있다. [사진 = Reuter]

이스라엘이 수십 년간 가자지구 주민 생존에 필요한 최소 식량량을 계산해왔으나, 최근 몇 달 동안 이 기준의 4분의 1도 안 되는 식량만 반입을 허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지난 31일(현지 시각) 이스라엘 정부가 오랜 기간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이 필요한 열량을 산출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식량 트럭 대수를 제한해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이 제한은 기아 사태는 피하되 가자지구의 경제를 붕괴시킬 수 있는 ‘최적 공급량’ 계산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가자 구호물자 배송을 관리하는 이스라엘 국방부 산하 기구 코가트(COGAT)의 기록에 따르면, 2000년대 중반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1인당 하루 최소 2279칼로리, 약 1.836kg의 식량이 필요하다고 산출했다.

현재 인도주의 단체는 이보다 적은 양을 요구하며 매달 210만 명을 위해 건조·통조림 식품 6만2,000톤, 즉 1인당 하루 약 1kg 수준의 식량 공급을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코가트 기록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3월부터 6월까지 5만6000톤의 식량만 가자지구 반입을 허용했으며 이는 필요한 최소량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스라엘은 가자 내 기아 확산에 대해 하마스의 구호품 약탈, 유엔(UN)의 배급 실패 등을 이유로 책임을 부인하고 있다.

가디언은 “절대적인 식량 공급량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유엔이 배급을 모두 마쳤다고 하더라도 대량 기아는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필요한 칼로리와 실제 유입량 간의 격차는 이스라엘 당국자들이 현재 다른 ‘계산’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또한 유엔과 비영리단체 등으로 구성된 기아 감시 시스템 통합식량안보단계(IPC) 역시 최근 보고서에서 “가자지구로의 식량 공급은 필요한 수준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물자 반입에 극심한 제한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IPC에 따르면 가자의 기아 상황은 5단계 중 최악인 ‘기근’ 단계에 도달한 상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