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농번기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농촌을 위해 ‘농촌 인력 중개센터 상황실’을 가동한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자원봉사 등 공공 인력 약 27만 명을 현장에 공급해 고질적 인력난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화성·평택·파주·김포·포천·양평·안성·여주·연천 등 9개 시·군은 현재 11개 농촌 인력 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근로센터를 운영한다. 센터에선 현장의 농작업 진행 상황, 인력 수급 및 임금 동향 등을 주간 단위로 모니터링한다. 도내 29개 대학의 농촌 일손 돕기도 적극 유도하고 있다.
도는 올해 농업 분야 전체 인력 수요를 1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중 27만 명을 공공 부문에서 공급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농촌 인력 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근로 인력 중개 약 4만2000명, 농협 및 단체 일손 돕기 약 18만 명,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약 8000명 등이다.
도는 외국인 고용허가제도 적극 활용한다. 도는 농번기 인력 수급을 위해 축산과 시설원예 등 상시근로자 분야에 외국인을 3년 이상 장기 고용할 계획이다. 고용허가제(E-9)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또 5~8개월 과수와 채소 등 수확 시기에 인력이 집중되는 품목에 계절근로자(E-8)를 단기간 투입한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