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살리는데 1000조 쓰겠다”...독일 기업 61곳 ‘통 큰 투자’

9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 재계는 장기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3년간 1000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지멘스와 61개 대기업은 2028년까지 6310억유로를 독일 내 설비 및 연구개발에 투입하고, 투자계획에는 주요 자동차 기업과 미국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의 무역전쟁 등 외부 요인으로 독일 경제는 역성장을 겪고 있으며, 향후 경제 성장 전망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프랑크푸르트 금융가. [사진출처 = 연합뉴스]

프랑크푸르트 금융가. [사진출처 = 연합뉴스]

독일 재계가 장기 불황에 빠진 경제를 살리기 위해 3년간 약 100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현지 매체들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멘스 등 61개 대기업은 이날 성명을 내고 2028년까지 독일 내 설비와 연구개발 등 투자에 6310억유로(1019조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메이드 포 저머니’(Made for Germany)라고 이름 붙인 투자계획에는 폭스바겐·BMW·메르세데스-벤츠 등 자동차 3사와 SAP·알리안츠·도이체방크·라인메탈에 더해 반도체회사 엔비디아와 자산운용사 블랙록 등 미국 회사도 이름을 올렸다.

기업 대표들은 이날 오후 총리실을 찾아가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와 라르스 클링바일 재무장관 등 경제 관료들에게 재계 요구사항을 전달할 계획이다.

투자계획을 주도한 지멘스의 롤란트 부슈 최고경영자(CEO)는 경제지 한델스블라트 인터뷰에서 “산업 입지로서 독일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건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라며 각종 승인 절차 간소화와 노동력 확보 대책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자동차·화학 등 수출제조업 중심인 독일 경제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과 함께 에너지값 폭등의 직격탄을 맞아 2023∼2024년 연속 역성장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미국발 무역전쟁의 불확실성이 투자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독일중앙은행) 총재는 미국 정부가 예고한 대로 내달 1일부터 유럽연합(EU) 상품에 상호관세 30%를 부과할 경우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0.7%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