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취약계층만의 문제 아니다

2 days ago 1

노인과 1인 가구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고독사’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이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고독사 사망자는 2019년 1366명에서 2023년 1689명으로 늘었다. 특히 세 집 중 한 집꼴로 1인 가구인 경기에서는 2023년 고독사 사망자가 922명으로 전년 대비 23% 급증했다. 이 기간 서울에선 연평균 500명 넘는 고독사가 발생해 사회 안전망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 시내 ‘고립 위험 가구’만 11만 명에 달한다. 이 중 약 4만 명은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김수덕 서울시 돌봄고독정책관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등으로 지난 3년간 7만 건 넘는 위험 신호를 감지했다”며 “초고령화가 심화하고 1인 가구가 급증하는 현실에서 고독사가 고질적 사회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에는 실제 고독사로 이어지는 사례가 다양해져 모니터링이 쉽지 않다. 김 정책관은 “과거에는 긴급복지 신청자 등 경제 취약계층에 국한된 문제였다면 요즘에는 경제력과 관계없이 자녀들이 외국에 머물거나 친한 지인이 없어 인간관계가 단절된 채 고독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에는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 인근에 거주하던 A씨(60)가 사망 후 수개월이 지난 시점에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타깃을 좁혀 모니터링하고 ‘집 밖에 나오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황순찬 인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경향을 보면 12개월 이상 일하지 않은 50대 1인 가구 등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하다”며 “1~2시간이라도 노동하도록 지원해 이들이 사회적 관계를 만들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위험 가구를 조기 발굴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24시간 상담 서비스 ‘외로움안녕120’ 전화, 먹거리와 상담을 제공하는 ‘서울마음편의점’, 지역 커뮤니티 공간 ‘서울잇다플레이스’ 등을 통해서다.

오유림 기자 our@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