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제조업 못 살려…제조원가 폭증할 것”

3 weeks ago 1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부흥 계획이 관세 문제로 인해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월스트리트저널에서 보도되었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아이폰16프로의 제조원가는 550달러로, 54%의 관세를 포함하면 847달러로 증가하여 애플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 제조 공정을 옮기는 것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실익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새 아이폰 구매를 미루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관세 피하려 中서 美로 공장이전
인건비·부품관세 등 원가 더 상승

5일(현지시간) WSJ가 보도한 아이폰16프로 원가의 관세 영향. <WSJ 기사 캡처>

5일(현지시간) WSJ가 보도한 아이폰16프로 원가의 관세 영향. <WSJ 기사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를 통한 제조업 부흥 계획이 성공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제조업을 되살리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야망이 엄청난 가격의 아이폰이라는 현실로 돌아올 수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중국에서 생산되는 애플 아이폰16프로(256GB 기준) 제조원가는 550달러다. 미국 정부가 부과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54% 관세를 고려할 때 847달러로 늘어난다. 1100달러가량인 판매가격을 높이지 않는다면 애플의 수익성이 악화하는 셈이다.

다만 애플이 관세를 피해 미국으로 제조공정을 옮길 가능성은 적다. WSJ는 중국의 대당 조립비는 30달러에 그치지만, 미국에서는 300달러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인건비 상승분으로만 현 제조원가(580달러)의 47%가 늘어난다.

아울러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도 내야 한다. 아이폰16프로에 들어가는 121달러 어치 후면 카메라는 일본산이다. 91달러 대만산 프로세서, 38달러 한국산 디스플레이도 필요하다. 미국이 한·중·일 3국에 매긴 관세는 24~32%에 달한다.

WSJ는 “부품에 대한 관세를 피하려고 모든 부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려면 더 큰 비용이 필요할 것”이라며 “새 아이폰 구매는 미루고 지금 쓰는 아이폰을 가능한 한 오래 쓰는 편이 좋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