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선발전
네이버-SKT-NC-LG 등 컨소시엄… 정부서 GPU-데이터 지원 받아
연내 단계별 평가로 4곳 압축… 내년말 최종 2곳 선정할 예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한 15개 팀을 대상으로 서면·발표 평가를 진행해 이들 5개 정예팀을 지원 대상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인 ‘모두의 AI’를 뒷받침하는 사업이다. 정예팀으로 선정된 이들 5개 컨소시엄은 정부로부터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 자원 등을 집중 지원받으며 빅테크와 맞먹는 수준의 국가대표 AI, ‘K-AI 모델’을 개발하게 된다.
이번 평가의 핵심 평가 지표는 ‘소버린 AI’(독자적인 인공지능) 구축 목표에 적합한가 여부였다. 과기정통부 측은 “5개 정예팀 모두 처음부터 시작해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확보하고자 하는 소버린 AI의 본질을 지향했다”며 “높은 수준의 오픈소스 정책도 제시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과 국민들의 AI 접근성 추진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통신사인 SK텔레콤 컨소시엄에는 게임사인 크래프톤과 포티투닷, 추론형 AI 반도체(NPU) 제작사인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등이 참여했다. 기존 국내 거대언어모델(LLM) 규모를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에 도전하고, 모든 국민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엔씨소프트 자회사인 NC AI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에는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KAIST, 포스코DX 등이 참여했다.
‘엑사원’을 내세운 LG AI연구원 컨소시엄에는 LG유플러스, LG CNS, 퓨리오사AI, 한글과컴퓨터, 뤼튼테크놀로지스 등이 참여했다. LG AI연구원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최신 프런티어 AI 모델 대비 95%가 아닌 100% 이상의 성능인 ‘K-엑사원’을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할 방침이다.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에는 노타, 래블업, 플리토, 뷰노, 마키나락스 등이 참여했다.
정부는 5개 정예팀에 대한 지원 내역 등을 확정해 이르면 8월 초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이들의 AI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이들 정예팀에는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통계청, 특허청, 방송사 등이 보유한 기관 데이터를 제공한다. 정부 예산으로 확보하는 1576억 원 규모의 엔비디아 GPU도 순차 지원한다. 정부는 이들 컨소시엄에 대한 단계별 평가를 통해 올해 말 지원 대상을 4곳으로 압축한 뒤 2026년 말 최종 2곳을 선발할 예정이다. 선발 과정에서 ‘대국민 콘테스트’도 진행할 예정이며, 최종 선발된 2곳은 2027년까지 전폭적인 지원 대상이 된다.장은지 기자 jej@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