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경기도서관, 도민 창작-교류의 문 연다

7 hours ago 3

연면적 2만7795㎡ 규모… 내일 개관
생성형 AI-편집 프로그램 이용 무료
청년 창작자에 개인 작업실도 제공
다문화가정-가족 위한 열람실 마련

25일 개관하는 국내 최대 공공도서관 ‘경기도서관’ 내부.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옆에 들어선 이 도서관은 지하 4층∼지상 5층, 연면적 2만7795㎡ 규모로 조성됐다. 사진은 3∼4층을 잇는 언덕형 통로 ‘경기책길’ 모습. 경기도 제공

25일 개관하는 국내 최대 공공도서관 ‘경기도서관’ 내부. 경기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옆에 들어선 이 도서관은 지하 4층∼지상 5층, 연면적 2만7795㎡ 규모로 조성됐다. 사진은 3∼4층을 잇는 언덕형 통로 ‘경기책길’ 모습. 경기도 제공
국내 최대 규모의 공공도서관인 ‘경기도서관’이 25일 문을 연다.

경기도는 수원시 영통구 경기도청 옆 부지에 총사업비 1227억 원을 들여 지하 4층∼지상 5층, 연면적 2만7795㎡(약 8400평) 규모로 경기도서관을 조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윤명희 경기도서관 관장은 “경기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을 추구한다”며 “지식과 창작, 교류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개념의 공공도서관”이라고 설명했다.

● 층별 맞춤형 공간 구성

경기도서관의 장서는 총 34만4216권으로, 도서 14만8181권, 전자책 19만6035권이다. 경기도는 향후 5년 내 도서 25만 권, 전자책 30만 권 등 55만 권 규모로 장서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하 2∼4층은 주차장, 지하 1층∼지상 5층은 도서 열람과 전시·창작·체험 공간으로 구성됐다. 지하 1층은 ‘창의의 공간’으로, 인공지능(AI) 스튜디오에서는 챗GPT, 제미나이, 클로드 등 8종의 생성형 AI와 포토샵·영상편집 프로그램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AI 독서토론실에서는 AI와 함께 책 내용을 토론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독서 경험을 제공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유료 AI 프로그램 사용이 어려운 도민이나 창작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층은 ‘소통과 만남의 공간’으로 문학 중심의 ‘북 라운지’가 조성됐다. 접근이 쉬운 위치에 문학 서적을 비치하고, 지역 서점이 추천한 도서도 함께 전시된다. 2층 ‘포용의 공간’은 어린이·청소년·다문화가정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가족형 공간이다. 영어 스페인어 등 22개 언어로 된 책과 게임존이 마련돼 있으며, 부모와 아이가 함께 책을 즐길 수 있다.

3∼4층은 사회과학·역사·인문학을 주제로 꾸며졌다. 약 2800권의 어린이·일반 도서를 가족이 함께 읽을 수 있는 ‘캠핑존형 열람공간’에서 편하게 즐길 수 있다. 5층은 청년 창작자를 위한 ‘청년기회스튜디오’로, 웹툰·미디어아트·웹디자인 등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개인 작업실이 마련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창의산업에 관심 있는 청년들이 자유롭게 창작하며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설계 도입해 차별화

경기도서관은 설계 단계부터 탄소 배출을 최소화한 ‘기후 도서관’으로 조성됐다. 태양의 위치에 따라 햇빛을 조절하는 ‘수직 루버’와 공기 정화·습도 조절 기능을 가진 ‘스칸디아 모스(이끼)’를 내부 인테리어에 적용해 자연 속에 있는 듯한 쾌적한 공간을 구현했다. 이 같은 친환경 설계로 녹색건축 최우수등급과 에너지효율 1++ 등급을 받았다.

4층 ‘지속 가능한 공간’에는 기후 변화와 환경 관련 서적만 모은 ‘지구를 지키는 책들’ 코너가 마련됐다. 바로 옆 ‘기후환경 공방’에서는 병뚜껑과 플라스틱을 활용한 업사이클(재활용)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서관이 기후 인식 전환과 실천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경기도서관은 연말까지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평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 주말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회원은 일반회원(실명 인증)과 도민회원(거주지 인증)으로 나뉘며, 일반회원은 1회 3권(15일간) 대출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1회 5권으로 늘어나며 7일간 1회 연장도 가능하다. 도민회원은 여기에 15일간 전자책 대출 서비스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도서관의 모든 프로그램은 현장 또는 사전 예약제로 운영된다. 자세한 정보는 경기도서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경진 기자 lkj@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