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이태원참사, 참담한 재난…유가족 욕보이는 일 사라져야”

9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 추모대회에서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는 유가족들의 절규 앞에 우리는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국가 존재의 첫 번째 이유라고 밝히며, 참사 이후 재난 대응 기준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 총리는 유가족들의 고통을 잊지 않겠다고 약속하며, 추모시설 건립과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대통령도 ‘무거운책임’ 언급“
”진상규명 미흡·징계 부실“
”책임에 상응하는 조치 계속 취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추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추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는 유가족들의 절규 앞에 우리는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 추모대회’에서 추모사를 통해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공적 책임과 공적 안전망의 붕괴가 불러온 참담한 재난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이어 “이 대통령께선 ‘국가가 존재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함이다. 한없이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라고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야말로 국가의 첫 번째 존재 이유”라며 “이태원 참사 이후 재난 대응 기준이 정비되고 예방 체계 강화됐지만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며칠 전 정부의 합동 감사를 통해 사전 대비 미흡과 총체적 부실 대응이 참사의 원인이었다는 것이 다시 확인됐다”며 “진상 규명은 미흡했고 징계는 부실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총리는 “책임에 상응하는 조치를 계속 취해 가겠다. 추모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정부를 대표해 약속드린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외국 유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외국 유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을 향해서는 “헤아릴 수 없는 고통 속에서도 목소리를 내준 간절한 뜻을 결코 잊지 않고 기억하고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면서 유가족 의견을 반영한 추모시설 건립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기억이 모이면 연대가 된다. 추모와 기억을 안전한 나라를 위한 실천의 연대로 이어가야 한다”며 “정부와 시민, 지역사회 모두가 더 안전한 대민을 만들어 가도록 노력하자”고 언급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참사 당일인 29일 정부 공식 추모 행사인 ‘3주기 기억식’이 열린다며 “국민께 간곡히 부탁드린다. 이제 어떤 말과 행동으로도 참사 유가족을 아프게 하고 욕보이는 일은 사라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추모사를 한 뒤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의 손을 잡으며 위로를 건넨 후 자리에 돌아와 안경을 벗고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이날 추모대회는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행정안전부, 서울시가 공동 개최했다. 참사 이후 유가족과 정부가 공동으로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김 총리는 정부 대표인 추모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