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정부가 자국 방산 기업인 오스탈의 한화 인수 견제에 나섰다.
오스탈은 5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올린 발표문에서 '오스탈 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라는 신규 자회사를 설립하고 호주 정부가 이 기업을 국가 전략 기업으로 지정하는 등 다각도로 경영권 안전장치를 만들 것임을 예고했다.
한화는 오스탈 지분을 19.9%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오스탈은 조만간 연방정부와 별도 주주 계약을 맺고 정부에 경영 정보 요구권과 거부권을 부여한다.
이와 함께 향후 호주 정부의 주요한 방산 건조 계약을 전담할 오스탈의 별도 자회사를 만들어 국가 전략 기업으로 지정한다.
방산기업 지키려는 호주"오스탈 경영 참여할 것"
오스탈 지분 늘리는 한화 견제
특히 모회사인 오스탈에 대한 한화 등 외국인 투자자 지분이 20%를 넘으면 호주 정부 발주 사업을 책임지는 신설 자회사에 대한 오스탈의 지분 전량을 호주 정부가 우선 확보할 수 있는 콜옵션을 부여할 예정이다.
모회사 오스탈은 해외 발주 사업을 주로 담당하고 신설 자회사가 호주 내부 물량을 책임지는 이원화 구도를 모색하는 흐름이다.
총 5쪽짜리 발표문에서 오스탈은 지분 20% 이상을 확보하게 되는 사례로 한화라는 기업명을 특정하지 않고 '제3자(The Third Party)'로 지칭했다. 로이터통신은 "해외 투자자가 오스탈 지분 20% 이상을 인수하면 호주 정부가 오스탈의 호주 내 자산을 통제할 수 있는 안전장치(safeguard) 조항을 포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한화는 미국을 중심으로 방산 사업 확대를 위해 지난 3월 호주 선박 제조사인 오스탈 지분 9.9%를 매입했다. 이어 지분을 19.9%로 늘리기 위해 호주 정부에 승인 심사를 요청한 상태다.
호주 정부는 다음달까지 승인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화는 호주 정부 지분 승인 요청에 앞서 지난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오스탈에 대한 지분 인수 승인을 요청해 관련 허가를 획득했다. 오스탈이 호주 방산 기업이지만, 미국 군함도 건조하는 사업체이다 보니 최대주주 변경 때 미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 허가를 얻어야 한다. 오스탈은 한화가 CFIUS 허가를 받았다고 발표했을 때도 허가 범위를 둘러싸고 한화가 잘못된 해석을 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한화는 호주 정부와 오스탈이 별도 자회사를 만들어 국가 전략 기업으로 지정하려는 취지가 정부 건조 물량을 안정적으로 소화하려는 목적인 만큼 한화의 지분 매입 확대를 막기 위한 조치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화 관계자는 "경영권 인수 목적이 아닌 대미 사업 등에서 전략적 협업 확대를 위한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오스탈이 정부와 주주 계약을 맺고 정부의 경영권 참여를 허용하는 절차를 준비한다는 점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한화에 대한 호주 정부의 입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