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08월 06일(17:00) 매일경제 자본시장 전문 유료매체인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이랜드그룹이 F&B(식음료)사업을 개편한다. 자회사 이랜드이츠가 전개하는 브랜드 중 9개가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핵심 브랜드 애슐리퀸즈(이하 애슐리)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비핵심 자산을 정리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랜드는 최근 자회사 이랜드이츠가 영위 중인 F&B 브랜드 9개에 대한 매각 작업을 시작했다. 매각 주관 업무를 맡은 삼정KPMG를 통해 인수 의향이 있는 곳들을 찾아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랜드이츠는 2019년 7월1일 이랜드파크의 외식사업 부문이 물적분할해 설립된 회사다. 현재 뷔페식 패밀 레스토랑 브랜드인 ‘애슐리’를 비롯해 자연별곡(한식뷔페)·피자몰(피자)·로운(샤브샤브) 등 19개 외식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다이닝 브랜드 6개와 카페·디저트 브랜드 3개를 매물로 내놨다. 다이닝 브랜드는 반궁, 스테이크어스, 테루, 테판야키 다구오, 아시아문, 후원 등이다. 카페·디저트 브랜드는 더카페, 카페루고, 페르케노 등이다.
이랜드의 이같은 행보는 비핵심 F&B 사업은 정리하고 핵심 브랜드에 역량을 집중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랜드이츠는 물적분할 이후 약 5년 만에 매출 4000억원을 돌파하면서 사업이 안정권에 접어들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작년에 매출 4705억원, 영업이익 319억원, 당기순이익 293억원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32%, 79%나 증가했다.
애슐리의 부활이 덕분이다. 회사 전체 매출의 70%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슐리는 작년에 신규 점포를 33곳 오픈하며 전체 매장을 110곳으로 늘렸다.
2020년 코로나19가 확산됐을 때만 하더라도 매출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었다. 2021년에는 31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았다. 이후 수익성이 낮은 애슐리 점포들을 정리하고 메뉴 개편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모습으로 부활했다.
‘가성비 트렌드’를 공략한 점이 통했다. 애슐리는 성인 기준 평일 점심 1만9900원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 11월을 마지막으로 가격 인상을 하지 않았다.
매물로 내놓은 9개 브랜드는 현재 전체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들 9곳의 매출과 상각전영업이익(EBITDA)는 각각 180억원, 23억원 등에 불과하다. EBITDA 규모를 고려했을 때 매각가는 수백억원대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IB 업계에서는 실제 매각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이미 매물로 나온 브랜드들이 많다는 점이 주된 이유다.
현재 국내 시장에 매물로 나와있는 곳으로는 명륜진사갈비, 푸라닭, 노랑통닭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화갤러리아가 햄버거 브랜드인 파이브가이즈(FIVE GUYS)를 매물로 내놓기도 했다.
다만 F&B 브랜드들이 새 주인을 찾기까지는 난관을 거듭하는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필리핀 식품 기업인 졸리비가 인수할 것으로 보이는 노랑통닭 정도를 제외하면 진전이 있는 딜을 찾기가 힘들다.
정책 리스크도 존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가맹사업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프랜차이즈 본사의 비용 분담 의무와 경영 간섭 금지가 골자를 이룬다.
가맹점에 불공정하게 비용을 전가하면 최대 2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는 점이 리스크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이랜드이츠는 현재 9개 브랜드 묶어 매각하는 패키지 딜을 진행 중”이라며 “주관사를 통해 인수 의향이 있는 곳을 알아보고 있으며 비핵심 자산을 정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