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서 “예년에 비해 파견하는 국가를 늘렸다. 현재 14개국으로 예상하는데 경우에 따라 축소될 수도 있다. 대통령실에서 특사 파견을 하기로 하고 여러 가지 구체 명단을 작성한 이후에 관련 당사국과 협의 진행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날 이 대통령이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미국 특사로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대미특사단 인선을 막바지 검토한 뒤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여권에 따르면 대미특사단에는 김 전 위원장 외에도 더불어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과 김우영 의원 등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우 정무수석은 “최근 특사 관련 보도가 있고 문의가 많으신데 먼저 정리하자면 특사단 파견은 계엄령 선포 이후에 매우 혼란스러웠던 대한민국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에 급격히 안정 되찾고 정상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각국에 알리고, 각국과 대한민국 사이 여러 협력 관계를 정상적으로 하자는 설명을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러나 아직 당사국 간 면담 당사자나 일정이 조율되지 않은 게 너무 많아서 지금은 발표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닌 점, 그리고 명단은 상대국과 조율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개하면 외교적 결례가 되기 때문에 확인하지 못한다. 일주일 후 공식 발표될 것 같은데, 그 이전까지는 공식 확인을 못해준다”고 덧붙였다.
미국 특사단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는 전혀 무관하냐는 질문에는 “이번 특사단 임무는 대통령 취임 이후 아까 말씀드렸던 목적으로 파견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사자 국가의 특별한 의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상단 성격을 띄지는 않는다”고 답했다.
우 정무수석은 “만약 미국 특사단을 파견하면 당연히 현안 관련해서도 여러 다양한 의논이 병행될 것으로 본다”며 “특사단뿐 아니라 공식, 비공식 채널을 계속 뚫고 있다. 미국과 관세 협상 해결을 위해 하나의 채널만으로는 움직이는 것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공식 비공식 관계를 복원하면서 협조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하에 진행되고 있다고 말씀드린다. 이 특사단이 특별한 임무를 갖는다고 해석하는 건 조금 과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시기에 대해서는 “시기는 상대국 조율이 안 끝나서 발표를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정 국가, 특정 나라는 7-8월이 모든 공무원이 통으로 휴가 중이라고 해서 특사단 파견 포기한 게 있다. 보도된 것 중에선 취소될 수 있는 것도 있다. 여러분이 충실히 취재하셨겠지만, 상대국과 조율을 통해서 합의되지 않은 특사단을 보도하시면, 의도치 않게 변화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어서 신중하게 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그러면서 “지금 저희가 발표하지 못한 것은 14개국 나라와 특사단 면담 일정이나 누구를 면담할지가 확정되지 않았다. 이건 그냥 계획이지 확정된 게 아니라서 발표하지 못하는 것이다. 너무 확정적으로 보도한 것에 대해선 제가 주의를 당부드리고 있으니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부연했다.
송치훈 기자 sch53@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