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특검이 필요로 하는 대상(물건 및 자료)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특검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대변인실 등과 국가안보실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채 해병 특검팀의 첫 강제 수사다. 특검은 채 해병 수사 외압 의혹의 단초가 된 이른바 ‘VIP 격노설’과 관련해 대통령 회의를 주관한 것으로 알려진 국가안보실을 대상으로 회의록 확보를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을 열고 “관련 피의자들이 사용한 국방부, 국가안보실 사무실 등 10여곳에 대해 압수수색 하고 있다”며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이시원 전 대통령공직기강비서관, 임기훈 전 대통령국방비서관,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을 대상으로 한 압수수색도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이 비서관과 임 비서관의 자택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현재 특검은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VIP 격노설’ 등을 수사 중이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며 ‘격노’한 뒤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이다.
정 특검보는 “특검법 제2조 제2호는 해병대원 사망 사건 관련 윤 전 대통령 및 대통령실·국방부·해병대사령부 등에서의 은폐·무마·회유·사건 조작 등 직무 유기·직권남용 등 불법행위를 수사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고 압수수색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2023년 7월 31일 윤 전 대통령이 참석한 국가안보실 수석비서관회의와 관련한 추가 자료, 주요 당사자들의 휴대전화를 확보해 당시 연락 상황 등을 파악하는 차원이라고 부연했다.송치훈 기자 sch53@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