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딸 불법 조기유학 고개숙인 이진숙…논문 가로채기 의혹엔 전면 반박

8 hours ago 3

논문 표절률 50%대 비판에
“검증과정 오류, 10% 불과”

자녀 불법유학은 사과했지만
“학비 6억원 아닌 3억원 정도”
NEIS·수업일수 몰라 진땀도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7.16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7.16

이재명 정부 첫 내각이 단 한 명의 낙오자 없이 구성될지가 분수령을 맞았다. 16일 청문회에 나선 이진숙 교육부 장관을 향하여 야당은 십자포화를 쏟아냈다. 전날 청문회를 마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자질 논란도 잦아들지 않고 있다. 특히 두 후보자 모두 야당은 물론이고 범여권과 시민사회에서까지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불거져 나오고 있다. 당초 전원 통과를 자신했던 여당에서도 기류의 변화가 감지된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등 의혹을 받는 이진숙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학계를 이해하지 못한 주장이고 기여도에 따라 저자를 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두 딸의 미국 조기 유학에 대해서는 사과했지만 논문에 있어서는 물러서지 않았다.

이 후보자는 “카피킬러(논문 표절 검증 사이트)에서 50%대의 표절률이 나왔다”는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카피킬러는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제자의 논문에 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라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고, 시간이 지나며 처음 단계에서 1저자가 아니었던 제자들도 1저자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등 논란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7.16 [이충우 기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등 논란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7.16 [이충우 기자]

다만 두 딸의 불법 조기유학 사실을 두고는 수 차례 잘못을 인정했다. 이 후보자는 2007년 중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자녀를 조기 유학 보내는 과정에서 초·중등교육법을 위반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를 두고 “교육의 세습이 부의 세습을 이룬다고 비판하면서 그렇게 한 후보자는 공교육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자는 “큰아이가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강하게 희망했고 둘째도 언니를 따라가길 원했다”고 돌아본 뒤 “그때는 그게 불법인지조차 인지하지 못했으나 국민께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두 딸이 다닌 미국 보딩스쿨의 학비가 3년간 6억2000만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돼 ‘황제 유학’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는 것에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학비와 생활비를 포함해 (제시된 금액의) 2분의 1 정도(약 3억원)로 기억한다”고 설명했다.

평교사 출신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초중등 교육에 대한 전문성 부족을 공략했다. 정 의원이 초·중·고등학교 법정 수업일수(190일)와 나이스(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등에 대해 묻자 이 후보자는 대답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날 이 후보자 임명 철회를 요구 데 이어 참여연대까지 “이 후보자에게 제기된 연구윤리 위반과 자녀 조기유학에서 초·중등교육법 위반은 교육부 수장으로서 치명적인 결격사유”라고 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후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질문을 받으며 눈시울을 붉히고 있다. 2025.7.14[이충우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후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질문을 받으며 눈시울을 붉히고 있다. 2025.7.14[이충우기자]

보좌진을 상대로 한 갑질 논란을 불러일으킨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도 코너에 몰렸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강 후보자에 대해 “더운 여름 더 이상 국민을 열받게 하지 말고 자진사퇴하거나 지명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갑질의 여왕이라는 별칭을 얻은 강 후보자는 어제 보좌진으로부터 임금체불 진정을 두 번이나 받았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고, 전직 보좌관 재취업을 방해했다는 폭로까지 나왔다”며 “강 후보자는 갑질의 영역을 넘어 위법으로 영역으로 들어갔다. 강 후보자는 검증 대상이 아니라 수사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범여권으로 합을 맞춰온 쪽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진보당은 “강 후보는 사실상 갑질 문제에 대해 인정했고 일부 해명에 대해서는 ‘거짓 해명’ 논란이 일며 국민적 신뢰를 잃었다”며 강 후보자 자진 사퇴를 공식 촉구했다. 사회민주당 청년위원회도 “각종 ‘사적 업무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며 강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2025.7.14 [이충우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2025.7.14 [이충우 기자]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도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며 “무엇이 잘못인지 모른 채 갑질을 반복한 자가 여성가족부 장관이라는 공직을 맡는 것은 국민 눈높이에도, 시대 정신에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강선우·이진숙 후보자에 대해 “결정적인 결격사유가 나온 것은 아니다”면서도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는 모습이다. 추가적인 문제점이 드러날 경우 자진사퇴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교통정리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우상호 정무수석이 주도하고 있는 대통령실 인사청문회TF(태스크포스)에선 각계 의견과 후보자 개인의 해명 및 입장 등을 종합해 상황을 조율하고 있다. 우 수석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유심히 여론 동향을 살펴보고 있다”며 “일부 후보자의 경우에는 여론 동향이 굉장히 안 좋게 흘러가는 것도 대통령께 보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