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쿼리PE, LG CNS 지분 5.6% 장외 매각

6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LG CNS의 2대 주주인 맥쿼리PE가 보유 지분 일부를 장외에서 처분하며 투자 회수에 나섰고, 이는 상장 후 의무보유확약 해제와 관련이 있다.

이번 블록딜로 맥쿼리PE는 약 2억5000만 달러를 확보하면서 LG CNS의 중장기 성장성을 강조하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AI 및 디지털 자산과 관련된 사업 성과가 기대되며, LG CNS는 정부의 주요 AI 사업에 선정되어 신규 프로젝트를 확보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분 투자 5년만에 회수 나서
잔여 지분 추가매각 가능성도
업계 "AI·로봇 모멘텀 유효"

사진설명

LG CNS 2대 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맥쿼리PE가 LG CNS 지분 일부를 장외에서 처분하며 투자 회수에 나섰다. 상장 이후 반년이 지나 의무보유확약이 해제되면서다. 추가 매도 가능성이 남아 있지만 인공지능(AI), 디지털 자산, 로봇 관련 성장성이 중장기 주가 모멘텀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크리스탈코리아는 이날 장 마감 후 LG CNS 보유 지분 21.5%(2083만479주) 가운데 약 5.6%(540만주)를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로 매각했다.

이번 블록딜로 맥쿼리PE는 2억5000만달러(약 3478억원)를 확보했다. 주당 매각 단가는 이날 종가인 7만300원에서 약 8.4% 할인된 가격인 6만4400원 수준이다. 블록딜 주관은 골드만삭스·JP모건·모건스탠리·KB증권 등이 맡았다.

크리스탈코리아는 맥쿼리PE가 LG CNS 투자를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맥쿼리PE는 이 SPC를 통해 2020년 4월 (주)LG에서 약 1조19억원에 해당하는 지분 35%(3051만9074주)를 인수했다.

이 가운데 맥쿼리PE는 LG CNS 상장 당시 968만8595주를 구주매출해 약 6000억원을 확보했다. 절반가량을 투자 수익금으로 회수하고 나머지는 인수금융 상환에 사용했다. 이 밖에 맥쿼리PE는 배당과 리파이낸싱(자본재조정)을 통해 추가로 투자금을 회수했다.

최초 투자 이후 5년이 지난 만큼 빠르게 잔여 지분을 처분하는 모습이다. 대규모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우려가 상존하지만 단기 수급 악재를 상쇄할 중장기 성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AI 전환(AX)과 로봇전환(RX) 사업의 실적 가시성이 상승하면서다. LG CNS는 지난 4일 국가대표 AI를 개발하는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 기업으로 선정됐다. 공공·금융 대상 AX 수주를 확대하고 있어 향후 독자 AI 모델 용례 창출 작업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LG CNS는 최근 380억원 규모의 공공 최대 AI 사업인 경기도교육청 'AI·데이터 중심 경기교육 디지털 플랫폼', 300억원 규모의 외교부 '지능형 AI 외교안보 플랫폼' 구축 사업을 잇따라 따냈다.

디지털 자산 법제화도 잠재적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은행 예금을 CBDC와 연계된 토큰으로 변환해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국은행의 '프로젝트 한강' 기술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최근 한국은행이 2차 테스트를 보류하면서 주가가 고점 대비 크게 조정받았다. 다만 중앙은행 주도 CBDC와 민간 주도 스테이블코인 중 무엇이 대세가 되든 LG CNS에는 호재라는 분석이다. CBDC 시스템 구축에 활용된 기술이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원석 신영증권 연구원은 "어떤 사업자가 국가 AI 사업자로 선정되고 스테이블코인 사업에서 주도권을 잡을지와 무관하게 이들에 시스템 구축·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LG CNS에는 수혜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우수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