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신발 가격 폭등 전망
백악관 “당파적 분석” 반박
트럼프 관세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관세발 인플레이션을 둘러싼 공방이 치열하다. 전문가들은 관세가 미국내 물가를 끌어올리고 경기침체를 일으키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하지만 백악관은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3일(현지시간) AP통신은 예일대 예산연구실 분석을 인용해 트럼프 관세전쟁으로 미국의 평균 유효관세율이 올해초 2.5%에서 현재 18.3%로 올랐다고 밝혔다. 앞서 시행된 자동차, 철강 관세에 이어 오는 7일부터 각국에 부과된 상호관세의 영향이다. 이는 1934년 이래 91년만에 최고치다.
예일대는 관세정책으로 단기적으로 미국의 물가 수준이 1.8% 상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가구당 수입이 2025년 달러 가치 기준으로 2400달러(약 330만 원) 감소하는 것과 같은 효과다.
특히 의류와 직물 부문에서 물가상승 폭이 클 전망이다.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할 신발과 의류 가격이 단기적으로는 각각 40%, 38% 오를 것으로 전망되며, 장기적으로도 각각 19%와 17% 높아진 상태로 유지될 전망이라고 예일대는 밝혔다.
올해 들어 이뤄진 관세 부과조치로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0.5%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후에도 매년 0.4%포인트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24년 달러 가치 기준으로 연간 1200억 달러(약 170조 원)만큼 GDP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백악관은 발끈하고 나섰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에 출연해 “소비자들은 예일대와 같은 당파적 분석을 무시한다”고 지적했다.
해싯 위원장은 “현재 의회예산국(CBO)은 약 3조 달러(약 4169조원)의 새로운 관세 수익이 예상된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인플레이션 지표는 지난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라며 “따라서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촉발하고 경기 침체를 유발한다는 주장은 데이터에 없다”고 반박했다.
해싯 위원장은 또한 “이는 ‘하나의 큰 아름다운 법’이 통과되기 전 수치이며,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는 이 법으로 인해 평균 가구 소득이 약 1만 달러(약 1390만원) 오를 것으로 추정한다”며 “예일대는 관세로 인한 비용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 비용은 1만 달러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