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율 25%→35% 1일부터 적용
캐나다 정재계 “불균형한 합의 안돼”
캐나다에 미국산 불매 운동을 필두로 반미 정서가 빠르게 번지고 있다. 동맹인 미국을 상대로 다각도로 무역 협상을 벌였으나 오히려 35%로 오른 ‘관세 폭탄’을 받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일(현지시간) 자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기존 25%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캐나다에서는 지난 2월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를 적용한 이후 미국산 불매가 확산했는데, 이번에 관세 인상으로 불매 운동이 거세게 확산하는 분위기다.
미국이 캐나다에 상호관세율 35%를 적용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캐나다가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는 나라가 됐다.
캐나다 CBC 방송은 무역협상 시한이 지나고 캐나다산 수출품에 35% 관세가 부과된 가운데 캐나다인들이 일상에서 무역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소개했다.
캐나다인 상당수는 캐나다산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미국산만 아니면 뭐든 괜찮다’는 식으로 생각했다. 계획한 미국 여행을 취소하거나, 다른 나라로 여행을 돌리는 이들도 늘었다.
CBC의 시청자 조사에서는 특히 식료품 매장에서 제품이 어디서 생산됐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 캐나다인들은 자산이나 투자금을 미국에서 캐나다로 옮기거나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지하고, 겨울에 미국에서 장기 체류하는 이른바 ‘스노버드(snowbird)’ 여행을 중단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산 불매에 나섰다고 CBC는 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비롯해 캐나다 정치권과 경제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카니 총리는 35% 관세 확정 후 발표한 성명에서 관세 인상을 두고 “캐나다 정부는 이 조처에 실망했다”라고 말했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캐나다 정치권과 경제계에서 ‘나쁜 합의(bad deal)보다는 무합의(no deal)가 낫다’며 캐나다가 일부 주요7개국(G7) 국가처럼 불균형한 합의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는 “졸속 합의보다는 강력하고 미래지향적인 합의를 우선시한 총리의 선택은 옳다”고 밝혔고, 상공회의소의 매튜 홈스 정책 담당 부대표는 WP에 “미국 측 우려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며, 실질적인 이견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소셜미디어에 ‘복붙’하듯 올린 시한 때문에 아무 협상이나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