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킴벌리는 2일 국민대와 ‘화장실 변기 물 내림에 의한 비산 물질의 오염 특성 연구’를 주제로 한 산학협력에서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변기 커버를 내리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 오염된 비말 입자가 최대 92㎝ 높이까지 상승하고 약 1분간 공중에 머물렀다고 전했다. 이후 비말 입자들은 화장지 용기와 벽면 등 주변 표면으로 확산했다.
특히 공중화장실에 많이 설치된 하단 개방형 화장지 용기 같은 경우 화장지가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져 비산 입자에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 물 내림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설령 변기 커버를 닫고 물을 내린다 해도 변기 시트를 비롯한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트 클리너로 변기 표면을 닦은 후 사용하고, 오염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화장지 노출 면적이 적은 밀폐형 용기 사용을 권장했다.
김형진 국민대 임산생명공학과 교수는 “비말이 공기 중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와 접촉할 경우 교차 감염의 가능성도 있어 위생 관리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