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키퍼, 교토서 亞최대 규모 개인전
숯덩이 들판 속 ‘아름다운 금박’ 장식
인간이 만든 ‘비극과 희망’ 함께 담아
‘원폭 80주년’ 맞아 전쟁-삶 재조명
여기에 있는 일본 막부시대 쇼군(將軍)의 궁전 ‘니노마루 고텐’은 화려한 금박 장식 등으로 평소 니조성의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하지만 대형 부엌과 조리실(다이도코로, 오세이쇼)은 다소 어둡고 차분한 분위기의 목조 건축물로 평소 일반에 공개되지 않는 곳. 이날 건물 안에 들어서자 폭 9.5m, 높이 3.8m 대작 회화 ‘옥타비오 파스를 위하여’가 압도적 분위기를 내뿜었다.
이 작품은 세계적 거장인 독일 출신 미술가 안젤름 키퍼가 3월 31일부터 개최한 개인전 ‘솔라리스’에서 새로 공개한 신작이다. 키퍼가 아시아에서 연 최대 규모의 전시에 어울리는 크기이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 폭격의 비극에서 영감을 얻은 회화부터 과학과 신화, 종교에 대한 사색을 담은 작품까지 총 33점을 선보인 이번 전시를 현장에서 둘러봤다.
● 죽음과 황금이 섞인 매혹적인 폐허키퍼는 ‘20세기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불리는 요제프 보이스(1921∼1986)나 게오르크 바젤리츠 같은 독일 신표현주의 미술가들과 함께 현대 미술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 거장. 독일 신국립미술관, 프랑스 퐁피두센터를 비롯해 여러 권위 있는 미술 기관에서 그의 작품 세계를 조명해 왔다.
‘옥타비오 파스를 위하여’는 커다란 캔버스 위에 줄지어 붙은 돌과 숯덩이들이 끝없이 펼쳐진 들판을 만들어 냈다. 들판 한가운데 불에 탄 번쩍이는 형상이 보이는데, 가까이 가면 비명을 지르는 얼굴이다. 그림 속 인간은 고통스럽지만, 역설적으로 들판은 무심한 듯 아름다운 금박과 각종 금속을 산화해 만든 청록색 물감으로 그려져 매혹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해당 작품은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멕시코 시인 옥타비오 파스(1914∼1998)의 시에서 영감을 받은 연작 가운데 하나. 모든 것이 연결돼 서로 영향을 준다는 시 구절을 인용한 이 작품은 현대인들이 전쟁의 상흔을 제대로 직면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그 옆엔 원폭 투하로 뼈대만 남은 히로시마 센다초등학교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 ‘오로라’가 있다. 이 역시 처음 공개된 작품으로 공동묘지처럼 되어버린 학교를 선으로 겹겹이 그린 위에 유모차를 얹고 그 안에 금박 패널을 넣었다.제목 ‘오로라’는 1905년 러일전쟁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 해군의 포격으로 피해를 본 군함을 일컫는다. 러일전쟁은 러시아 혁명을 일으키는 신호탄이 됐다. 당시는 일본 제국주의가 팽창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인간의 욕망이 낳은 비극과 그 안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사색하게 만든다.
● 인간이 만드는 비극과 희망
이번 전시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대한 원자폭탄 폭격 80주년을 맞아 기획됐다. 키퍼의 작품은 역사적 비극 등 한 측면만 강조하기보다 그 안에 담긴 인간의 복잡한 속성, 그것을 이해하며 생겨나는 희망을 신화에 빗대거나 상징을 통해 표현한다. 인간이 자아낸 비극을 신비롭게 표현해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는 건 키퍼를 세계적인 작가로 만든 요소 중 하나다.
1945년 3월 폭격을 당하던 독일의 한 병원 지하에서 태어난 키퍼는 폐허가 된 도시에서 부서진 건물 벽돌을 갖고 놀며 자랐다고 한다. 패전국 독일의 복잡하고 모순적이던 사회 분위기에서 영감을 얻은 작가는 인간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는 작품을 선보여 왔다.
이번 전시도 조리실로 쓰였던 공간에서 ‘모겐소 플랜(Morgenthau Plan)’을 제목으로 한 설치와 회화 작품을 볼 수 있었다. 모겐소 플랜은 세계대전 이후 독일이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군수 산업과 중공업을 제거하고 농업과 목축 중심의 국가로 만들려 했던 계획.작가는 이 계획이 실현됐다면 만들어졌을 법한 곡식이 빼곡한 밭을 건물 내에 만들었다. 금을 입힌 곡식 사이로 바닥에 납으로 된 책과 뱀 조각이 보였다. 무언가를 억지로 제압하거나 거스르려는 인간의 행동이 문명을 만드는 데 일조했지만, 때로는 스스로를 파괴하는 덫으로 돌아올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였다.
전시장 밖 쇼군이 머무는 침실이 있었던 니노마루 고텐 앞 정원엔 ‘사포’ ‘솔라리스’ 등 지혜로운 여인들을 표현한 조각이 설치됐다. 또 금박과 산화된 청록 안료가 가득한 풍경 사이로 사라질 듯 서 있는 작가의 뒷모습을 담은 회화 ‘안젤름이 여기 있었다’ 등도 전시됐다.
교토=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