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D-26…李는 '1일 1공약', 국힘은 단일화 난타전

15 hours ago 2

입력2025.05.07 17:36 수정2025.05.07 17:36 지면A31

대통령선거가 겨우 26일 남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거의 매일 새로운 공약을 발표하는데, 지지율에서 뒤처진 국민의힘은 오히려 ‘공약 실종’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당내 경선 중이던 지난 1일 국회의원 불체포특권과 사전투표제 폐지 공약을 내놓은 것이 끝이다. 당 차원에서도 2일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 폐지를 약속한 이후 감감무소식이다. 후보 단일화에 발목이 잡힌 탓이다. 임기 단축과 개헌을 대선 출사표 삼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는 어제 부총리급 ‘AI(인공지능)혁신전략부’ 신설을 1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첨단 AI반도체 50만 개 확보, 귀국 핵심 인재에 아파트 특별공급 같은 실천 방안을 약속했다.

하지만 단일화 협상이 좀처럼 진척을 보지 못해 그나마 몇 개 되지 않는 공약에 힘이 실리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김 후보와 한 예비후보가 어제 만나 ‘단일화 담판’의 첫발을 뗐지만 가시적 성과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기 대선을 기정사실화하고 진작부터 공약을 가다듬어 온 민주당과 달리 보수 진영의 두 후보 모두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대통령 권한대행 역할을 수행한 한 예비후보나,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김 후보 입장에서는 차분히 대선 공약을 준비할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등을 포함한 ‘대선공약기획단’을 가동해 한 달간 10대 핵심 공약을 준비했지만 아직 김 후보가 제대로 들여다본 것 같지 않다.

관건은 조기 단일화다. 이 불확실성을 하루빨리 걷어내야 기존 공약을 재점검하면서 새로운 공약을 기획·발굴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는 관세전쟁, 수출 경쟁력 회복, 안보 강화, 정년 연장, 세금 감면 등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이 많다. 이렇게 시간을 보내다가 유권자들에게 ‘무엇을 하겠다’ ‘어떻게 변하겠다’는 말 한마디 제대로 못하고 투표일을 맞을 수도 있다. 보수진영의 큰 위기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