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인 '다섯 극과 모놀로그'
7월 20일까지 아트선재센터
둥둥둥 북소리와 함께 4명의 공연자가 한국 근현대 여성 노동사가 수놓인 태피스트리(직물)를 중심으로 반응하며 감각적으로 몸짓을 만들어낸다. 홍영인 작가의 이 전시에서 태피스트리, 소리, 공연은 유기적으로 어우러진다. 즉흥적으로 생성되는 에너지와 리듬을 통해 작가는 수평적이고 평등한 장을 제안한다.
서울 종로구 아트선재센터에서 7월 20일까지 홍영인의 국내 첫 미술관 개인전 '다섯 극과 모놀로그'를 개최한다. 전시는 태피스트리와 동물 장난감의 형상 조각들, 5번의 즉흥 공연 '다섯 극'과 사운드 설치 신작인 '우연한 낙원'으로 구성된다. 두 작품은 가부장적 역사 속에서 주변화됐던 여성과 동물의 시선으로 제의적 공간을 새롭게 엮어낸다. 여기서 제의는 단순한 재현을 넘어 억눌려온 기억과 사라진 존재를 불러내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다섯 극'은 한국 현대사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았던 여성 노동사로부터 출발한다. 40m 길이의 둥그렇게 구성된 태피스트리는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 총 8개가 삼베에 전통 자수 기법으로 수놓여 있다. 홍영인은 "2000년대 중반부터 손바느질을 배우기 시작해 이 기술을 숙련시켰다. 내 손에 든 바늘 하나에 무수한 여성 노동자의 삶이 녹아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들을 오늘의 감각 속으로 불러내고 싶었다"고 밝혔다.
어두운 방에 따로 설치된 '우연한 낙원'에 들어서면 두루미의 꽥 하는 울음소리가 쉬지 않고 귀를 때린다. '두루미들이 추는 사뿐한 춤에 매료된 것은 나뿐만이 아니다'라며 두루미를 예찬하는 한 편의 글이 스크린에 떠 있다. 작가가 직접 작성하고 낭독한 글을 두루미의 목소리로 변환해 재생한 작업물이다. 홍영인은 "비무장지대(DMZ)에서 두루미를 처음 봤을 때 너무나 아름다운 행위에 자석처럼 끌렸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아트선재센터 1~2층에서는 스페인 현대미술 작가 10명을 소개하는 '맑고 투명하고 깨어 있는'전이 열린다.
[박윤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