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전 세계 공연예술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축제가 열린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최·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는 ‘2025 서울국제공연예술제(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 이하 ‘SPAF’)’가 오는 10월 16일부터 11월 9일까지 국립극장과 세종문화회관,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등에서 열린다.
올해 25회를 맞은 SPAF는 ‘얽힘과 마찰(Entanglement and Friction)’을 주제로 한다. 연극·무용·다원예술 등 국내외 주요 작품 22편과 다양한 워크숍, 협력 창작랩 등을 선보인다. 세계 공연예술의 흐름을 압축해 담았을 뿐 아니라 한층 확장된 시선과 실험적인 무대를 더했다.
먼저 국내외 공연예술계의 화제작과 실험적인 작품들을 대거 소개한다. 연극 부문에서는 SPAF 협력 예술가 구자하의 ‘하리보 김치’, 우카시 트바르코프스키의 ‘디 임플로이(The Employees)’, 위차야 아르타맛의 ‘반 쿨트, 무앙 쿨트: 숭배에 관하여’ 등 다른 시선으로 현대사회의 갈등과 역설을 탐구한 작품들이 무대에 오른다.
다원예술 부문에서는 SF 문학과 사운드 퍼포먼스를 결합한 ‘디아스포라’, 100대 키보드가 만들어내는 미세한 음향 차이를 탐구한 ‘100개의 키보드’ 등 실험성과 몰입감을 동시에 갖춘 공연이 관객을 만난다.
무용 부문에서는 중국 현대무용의 선두주자인 타오 댄스 씨어터의 신작 ‘16&17’, 전자음악과 군무가 결합된 (라)오흐드X론X마르세유 국립 발레단의 ‘룸 위드 어 뷰’, 전통춤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마지막 춤은 나를 위해’,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1도씨’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창작 과정을 관객과 나누는 ‘협력 기획·과정 공유 프로젝트’도 주목할 만하다. 사운드 창작랩의 마지막 결과물로 선보이는 안상욱 작가의 ‘12 사운드’, 대학로극장 쿼드와 공동 기획한 관객 참여형 게임 퍼포먼스 ‘에세즈 메세즈: 당나귀들의 반란’을 준비했다. 이외에도 일반인과 무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무용 워크숍, 강연 등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