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대 한접시 2만5000원' 바가지 논란에…제주시 결국

3 weeks ago 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제주시는 22일 시청 본관 회의실에서 현원돈 부시장 주재로 ‘지역축제 총괄 관리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었다. 지난달 열린 전농로 왕벚꽃축제에서 불거진 '바가지 요금' 논란과 잇따른 식중독 의심 신고로 잃어버린 신뢰 회복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시는 향후 TF와 축제 주최부서에서 바가지요금 관리대책 마련, 민원접수센터 운영, 위생·친절 서비스 사전교육, 축제장 식음료 안전관리 대책 등을 수립해 중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관내 24개 지역축제에서 발생하는 불공정하고 비위생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현원돈 제주시 부시장은 “앞으로 개최되는 축제들은 사전회의와 현장 방문의 이중 점검 체계로 축제의 불편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며 “축제 주최부서와 총괄관리 TF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제주시에서 개최되는 모든 축제를 믿고 즐길 수 있는 축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제주시의 조치는 지난달 열린 전농로 왕벚꽃 축제에서 식중독 의심 증상이 나타났다는 의심 신고가 잇따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 18일 제주보건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기준 의심 증상 신고 사례는 총 80건으로 집계됐다. 주최 측은 식중독 의심 증상 사례자에 대한 보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축제는 식중독 논란에 이어 일부 노점이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 한 접시를 2만5000원에 판매한 사실이 알려지며 바가지요금에 대한 논란도 불거진 바 있다.

이 축제 말고도, 제주도는 과거에도 비싼 요금으로 계속해서 논란이 됐다. 지난해에 한 유튜버가 용두암 해산물 노점에서 전복, 해삼, 소라 몇 점이 담긴 플라스틱 용기를 5만원에 팔았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실제 제주관광공사가 발표한 '내국인 제주 방문 관광객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4%가 제주 여행의 가장 큰 불만 요소로 '비싼 물가'를 꼽았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