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시한 3~4주 제시 속도전
"추가보복 원치 않아" 회유도
일본에도 방위비 인상 요구
日언론 "조기합의 쉽지않다"
◆ 관세전쟁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중국과 관세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을 '앞으로 3~4주 이내'로 못 박으면서 중국을 재차 압박했다. 보복관세와 희토류·반도체 수출 통제, 항공기 구매 중단에 이어 중국 해운사·중국산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등 양국 간 '난타전'이 지속되고 있지만 빠른 속도로 협상을 매듭짓자는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중국이 관세를 더 올리면 추가 보복 조치를 할 것이냐는 질문에 "나는 그들이 더 높이길 원치 않는다. 어느 지점에서는 사람들이 사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라면서 "그래서 나는 더 높이기를 원치 않거나 그 수준까지 가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자국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 중국은 18일 강하게 반발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전 세계 해운 비용을 증가시키고 글로벌 생산·공급망 안정을 혼란스럽게 할 뿐 아니라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미국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을 해쳐 결국 미국 조선업을 활성화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6일 진행된 미국과 일본 간 관세 협상에 직접 참여하는 등 '협상 속도전'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또 다른 협상 상대인 유럽연합(EU)에 '압박의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취재진을 만나 EU와의 무역 협상을 두고 "내 생각에 100% 무역 협정이 있을 것"이라면서 "그들은 협정을 원한다. 우리는 무역 협정을 맺을 것이며 그것은 공정한 협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멜로니 총리는 이탈리아의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2% 수준으로 올릴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를 두고 "GDP의 2%가 충분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Never enough)"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와의 상호관세 협상에 대해 "모든 국가와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면서 "많은 국가가 우리와 협상하고 싶어 한다. 솔직히 나보다 그들이 더 협상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거래를 결정하는 것은 우리"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 타결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상대국들은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협상의 문'을 열어놓았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아직 응하지 않고 있다. 시 주석은 4박5일간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3개국 순방을 마치고 18일 귀국했다. 그는 이번 순방에서 이들 국가와 각각 '공동운명체' 구축을 강조하며 보호무역주의에 기반한 미국의 관세정책에 반대하는 데 뜻을 모았다.
미국의 첫 관세 협상 대상국이 된 일본에서도 조기 타결이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상호관세가 유예된 90일간 미·일 양국이 합의점을 찾기는 용이하지 않다"고 보도했다. 전날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약 50분간 면담하고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75분간 회담했지만 앞으로 타결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도 "일본이 다른 나라들보다 협상 테이블에 먼저 앉았지만 조기 합의는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미·일 첫 관세 협의를 벌인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의 보고를 받은 뒤 "미·일 간에 여전히 입장 차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회담할 당시 주일미군 주둔비 부담, 미국산 자동차의 일본 내 판매 확대,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라는 3가지 핵심 요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개선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중 주일미군 주둔비에 대해 일본 측 분담이 불충분하다는 견해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서울 신윤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