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철 좀 들어라"…거슬리면 해임하는 트럼프에 '성토'

3 hours ago 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용시장이 예상보다 위축됐다는 통계가 나오자 “조작된 숫자”라며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 국장을 해임했다. 관세 부과에도 경제가 끄떡없다는 기존 주장과 상반되는 통계가 공표되자 임기가 2년 넘게 남은 통계 책임자를 해고한 것이다. 통계를 정치화한다는 비판과 함께 공화당에서조차 “철 좀 들라”는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젠 철 좀 들어라"…거슬리면 해임하는 트럼프에 '성토'

◇트럼프 “통계 조작으로 대통령 공격”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SNS에 “조 바이든(전임 대통령)이 지명한 인사이자 대선 전 카멀라(해리스 전 부통령)의 승리 가능성을 높이려고 일자리 수를 조작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이 일자리 숫자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막 알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동통계국은 2024년 3월 일자리 증가 수를 약 81만8000개로 과장하고, 2024년 대선 직전인 8월과 9월에 다시 일자리를 11만2000개로 과장한 곳”이라고 했다. 이어 “내 팀에 이 바이든 정무직을 즉각 해고하라고 지시했다”며 “훨씬 유능하고 자격 있는 누군가가 그녀를 대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이날 노동통계국이 7월 고용(농업 제외) 지표와 함께 5, 6월 고용 수치를 하향 조정한 뒤 나왔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7월 고용은 전월 대비 7만3000명 늘었다. 시장 예상치(10만 명)보다 적었다. 또 5월에 늘어난 일자리는 당초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6월에 증가한 일자리는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각각 수정됐다. 결국 최근 3개월간 늘어난 취업자는 평균 3만5000명으로 지난해 미국 월평균 취업자 증가분(16만8000명)의 5분의 1에 그쳤다.

이는 관세 정책에도 미국 경제가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트럼프 행정부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는 호황인데, 통계를 조작해 공화당과 나를 나쁘게 보이게 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통계 독립성 위협 선례”

이번에 해임된 맥엔타퍼 국장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지명과 상원 인준을 거쳐 지난해 1월 말 임기를 시작했다. 임기는 4년이다. 다만 정무직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언제든 해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맥엔타퍼 국장은 2년5개월가량 임기가 남은 상태에서 물러나게 됐다. 고용통계국은 당분간 부국장 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전문가들의 비판은 거세다. 노동통계국은 노동부 산하 기관이지만 정치적 독립성이 높은 조직이다. 이번 조처로 기관의 독립성과 통계의 신뢰성이 치명상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고용통계국장을 지낸 윌리엄 비치는 뉴욕타임스에 이번 경질 조치에 “아무런 근거도 없다”며 “이는 다른 통계의 독립성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동통계국의 5·6월 고용지표가 달라진 것도 통계 수집의 시차 문제로, 흔히 있는 일이라는 반론이 제기된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6월에는 지방의 교육 관련 일자리에 대한 최신 자료가 반영되면서 고용 증가 규모가 급감한 것”이라고 전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X(옛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을 당장 해고해야 마땅하다”고 공격했다. 크리스 머피 민주당 상원의원은 “권위주의로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며 “(옛) 소련이 이렇게 했다”고 말했다. 공화당에서도 비판이 제기됐다. 톰 틸리스 공화당 상원의원은 “대통령이나 누군가가 단지 수치가 마음에 들지 않아 국장을 해고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면 그들은 철 좀 드셔야 할 것”이라고 직격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