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일 국정기획위원회(국정위)가 주재한 미국 관세 부과 영향 관련 간담회에 참석했다. 전날 타결된 한미 관세협정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기준금리 동결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해서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 연합뉴스) |
한은과 국정위 등에 따르면 이날 국정위 경제 1분과는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주재로 미국 관세 부과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창용 총재는 미국의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부과가 우리나라의 수출을 비롯해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한 한은의 분석을 전달했다. 기준금리 조정 등 통화정책 당국인 한은은 물가, 성장률, 경상수지 등 국내외 경제 전반에 대한 분석과 전망을 한다. 경제전망을 통해 향후 경기, 물가, 고용 등 경제 주요 변수의 흐름을 예측해 선제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운용을 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와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최근 전망의 오차가 크긴 했으나, 국내외 기관 중 가장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은 관계자는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관세 부과 자체는 우리 경제에 악재지만 4월 최초로 상호관세가 통보됐던 시점보다 기본 관세율이 낮아졌고, 품목별 관세도 일부 하향 조정됐기 때문이다.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직전(5월) 경제전망 시 전제했던 시나리오와 차이가 있으나 평균 관세율이나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등은 기존 전망과 대동소이할 것으로 봤다.
이 총재는 또 29~30일(현지시간) 열린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도 국정위에 보고했다. 연준은 7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하면서 올해 내내 기준금리를 4.25~4.5%로 묶어두고 있다. 그사이 한은은 올해 들어 2월과 5월에 각각 25bp(1bp= 0.01%포인트)씩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한미 금리차는 지난 5월부터 역대 최대폭은 200bp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은 상황에서 금리차가 확대될 경우 자본유출과 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금융통화위원회 내에서도 한미 금리차 추가 확대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위는 전날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직후에도 한미 관세 협상 내용과 대응 방안 등을 점검하는 회의를 열고 △미국의 통상 정책 기조 및 향후 대응 방안 △대미 관세에 따른 경제적 영향 및 통상 정책 △경제 안보 측면에서의 대응 방향 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