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지는' 당뇨병 환자…20~30대 유병률 10년 새 2배 '급증'

1 week ago 12

입력2025.05.01 18:00 수정2025.05.01 18:0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20~30대 젊은 층에서 2형 당뇨병(T2DM)이 확산하면서 당뇨병 환자들이 젊어지고 있다.

지난 10년 사이 20~30대 젊은 층의 당뇨병 유병률이 두 배 가까이 치솟았고, 비만과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의료계에서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대한당뇨병학회는 학술지 '당뇨병과 대사 저널(DMJ·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최근 실린 '한국 2형 당뇨병 젊은 성인의 유병률, 발생률 및 대사 특성(2010∼2020년)' 연구논문에 따르면 2010년 1.02%였던 국내 19∼39세 젊은 성인의 2형 당뇨병 유병률은 10년 만인 2020년 2.02%로 두 배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0년 기준으로 약 37만명의 젊은 성인이 2형 당뇨병을 앓고 있고, 특히 30대(30∼39세) 유병률은 2010년 2.09%에서 2020년 3.9%로 증가해 젊은 당뇨 확산을 주도한다는 평가를 받느다.

남성 유병률이 여성보다 일관되게 높았고, 증가 속도 역시 남성이 더 빨랐다. 주목할 점은 젊은 2형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비만을 동반한다는 사실이다.

2020년 기준 젊은 당뇨 환자의 67.8%가 체질량지수(BMI) 25kg/㎡ 이상의 비만이었고, 31.6%는 고도비만(BMI 30kg/㎡ 이상)에 해당했다. 허리둘레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복부 비만의 심각성도 확인됐다.

비만은 고혈압(34.2%), 이상지질혈증(79.8%), 지방간(78.9%)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으로 이어졌으며,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질환 등 합병증 유병률도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심부전은 2020년 기준 젊은 당뇨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으로 확인됐다. 또 만성신부전증(말기 신장 질환),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도 당뇨병의 합병증 중 하나다.

젊은 당뇨 환자에게서 비만 관련 약제 처방이 늘고 있지만, 전반적인 약물 치료율은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약물 치료에 이르기 전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