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에서 발생한 총기 살인 사건과 관련해 범행 현장에서 피해자 부인의 긴박했던 신고 내용이 공개됐다.
25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확보한 ‘인천 송도 사제총기 살인사건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112 신고가 처음 접수된 것은 지난 20일 오후 9시 31분. 당시 총격을 받고 쓰러진 A(33·사망)씨의 부인은 처음 “살려주세요. 살려주세요. ○동 ○호다”라고 신고했다.
A씨 부인은 “누가 총을 쐈다”며 “저희 남편이 총에 맞았다. 빨리 좀 와달라”고 했다.
신고 접수 경찰관이 “남편이 어떻게 하고 있다고요?”라고 묻자 A씨 부인은 제대로 답하지 못하고 “빨리 들어가. 방으로 빨리 들어가”라며 자녀들을 재촉했다.
경찰관이 총격 부위를 묻자 A씨 부인은 “배가 좀 맞았다. 애들 있다. 빨리 와달라. 구급차 좀 불러달라”고 반복해 호소했다.
A씨 부인은 2분간 통화한 뒤 전화를 끊었다가 다시 이어진 6분간의 통화에서 “남편이 피를 많이 흘렸고, 아버지가 밖에서 총을 들고 계신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신고 접수 경찰관은 계속해 A씨 부인에게 피의자의 위치를 물었고 “경찰관이 가고 있는데 방안에서도 현관문을 열 수 있나”라고 묻기도 했다.
신고자는 “열어드릴게요. 문 열었어요”라고 답하고 진입 여부를 여러 차례 물었지만 경찰관은 “올라가고 있다”고만 했다.
A씨 부인은 “남편이 현관에 누워있다. 제발 도와달라”고 애원했지만 경찰은 다른 진출입 통로가 있는지 확인했다.
A씨 부인은 “현관 말고도 테라스를 통해 들어올 수 있다. 사다리 타고 올라가야 한다”고 했고, 신고 접수 경찰관은 “현장에 있는 경찰관이 전화드리라고 하겠다. 바로 전화 받으세요”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전화는 곧장 오지 않았고 A씨 부인은 다시 112로 연락해 “전화가 오지 않는다. 빨리 들어오세요”라고 애원했다.
A씨 부인은 두 차례 “제발 빨리 전화주세요”라고 말하면서 “저희 남편 죽으면 어떡해요. 빨리 전화주세요”라고 했다.
하지만 경찰은 제때 범행 현장에 진입하지 못했고 A씨 아래층 주민도 오후 9시 39분, 오후 9시 43분, 9시 50분, 9시 56분에 추가로 112 신고 전화를 했다.
이 세대는 범행 현장에 있다가 총격을 피해 대피한 A씨 부인의 지인(외국인 가정교사)이 도움을 요청한 곳이다.
아래층 주민은 두 번째 통화에서 “경찰도 들어오고 119도 불러달라”며 “경찰도 안 오고 아무도 안 왔다”고 했다.
3번째 통화에서는 “경찰이 왜 이렇게 안 오는 거냐. 집으로 오셔야 할 거 아니냐”고 항의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의 피의자 B(62)씨는 지난 20일 오후 9시 31분께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모 아파트 꼭대기 층인 33층 집에서 사제 총기를 발사해 아들 A씨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범행 당일은 B씨의 생일로 아들이 잔치를 열었고 며느리와 손주 2명 등이 함께 있었다.
B씨의 서울 도봉구 집에선 시너가 담긴 페트병, 세제통 등 인화성 물질 15개와 점화장치가 발견됐으며, 살인 범행 이튿날인 21일 정오에 발화 타이머 설정이 돼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