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사 절반이 적자…K콘텐츠 생태계 휘청

1 week ago 9

국내 증시에 상장된 영화·드라마 제작사 중 절반 이상이 지난해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급증한 제작비를 감당하지 못해 제작 편수가 20% 이상 감소했다. ‘K웨이브’ 견인차 역할을 하는 영화와 드라마가 흥행작을 내놓지 못하면 K뷰티, K패션, K푸드 등 연관 산업도 부진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제작사 절반이 적자…K콘텐츠 생태계 휘청

1일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증시에 상장된 영화·드라마 제작사 11곳의 지난해 실적을 분석한 결과 6곳이 영업적자였다.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적자인 제작사도 5곳이다. 이들 상장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2년 총 10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는데, 2023년 783억원 적자로 전환한 뒤 지난해 총 37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16년 넷플릭스가 국내에 진출한 이후 폭등한 제작비가 이들의 발목을 잡았다. 제작비 부담으로 작품 수는 계속 줄고 있다. 지난해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방송국에서 방영한 드라마 편수는 2022년 대비 25%, 한국 영화 개봉 편수는 20% 감소했다.

김세환 동서대 방송영상학과 교수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던 넷플릭스의 전략이 변하고 있는 데다 숏폼의 등장으로 긴 영상 수요가 감소해 제작사들의 고충은 더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