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에 따르면 3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9349채 중 40대 매입 비중이 33.8%(3158채)로 가장 높았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기존 ‘큰손’이었던 30대 매입 비중은 32.5%(3041채)로 뒤를 이었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연령대별 매입 비중은 2019년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지난해까지 30대가 두드러진 매수세를 보여왔다. 2019년 30대 매입 비중은 평균 28.8%로 40대(28.7%)와 비슷했다. 이후 격차를 벌리다가 집값 급등기였던 2021년 빚을 내 집을 사는 ‘영끌족’이 늘면서 30대 매입 비중(36.4%)은 40대(26.4%)보다 10%포인트 웃돌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금리 부담과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시중은행의 대출 규제 등으로 30대의 돈줄이 막히면서 매수세가 주춤해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40대 매입 비중(31.7%)은 30대(31.9%)와 비슷했다.이런 상황에서 3월 토허제 해제로 거래량과 아파트 가격이 모두 상승하자 30대보다 자금력 있는 40대의 매수세가 강해졌다. 실제 토허제가 해제됐던 강남권을 중심으로 40대 매입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0곳에서 40대 매입 비중이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중 강남구와 서초구는 40대가 30대보다 20%포인트 이상 더 높은 매입 비중을 보였다.
임유나 기자 imyou@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