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인근에서 어린이 완구를 생산하던 G사는 지난해 하반기 폐업했다. 저출생과 원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고전하던 터에 5000만원 넘는 안전 관련 인증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회사 대표는 “번 돈이 인증비로 다 들어가니 더 이상 공장을 돌릴 수 없었다”며 “20년 넘게 해온 사업을 접고 1주일 내내 울었다”고 전했다.
완구업계가 한계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완구 종류에 따라 2년, 5년 단위로 갱신해야 하는 KC 인증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서다. 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안전인증, 안전확인신고 등 KC 인증 건수는 2019년 4만8000건에서 2023년 10만1000건으로 증가했다. 박찬규 한국완구공업협동조합 전무는 “KC 인증 비용으로 업체마다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이 들어간다”며 “완구업계는 5인 미만 영세 업체가 상당수여서 인증을 갱신할 엄두를 내지 못해 공장을 닫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등을 통해 판매되는 중국산 완구는 KC 인증 대상에서 제외돼 국내산 완구가 역차별받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완구업계는 인증 비용이 제품가의 최소 10~15%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정선 중기선임기자 leew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