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대명사 덴마크마저”...스페인 대정전 보더니 소형원전 검토

4 hours ago 1

AI시대 맞아 전력수요 폭증
재생에너지만으로 충당 한계
英·佛 유럽 ‘원전 유턴’도 영향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 장관 [EPA = 연합뉴스]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 장관 [EPA = 연합뉴스]

지난 40년간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을 고수해 온 덴마크가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 도입 의사를 내비쳤다.

많은 전력이 필요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늘어나고 있는 데다, 친환경 전력 비중이 높은 스페인에서 최근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면서 유럽 전역에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14일(현지시간)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기후 장관은 덴마크 일간 폴리티켄과의 인터뷰에서 1985년 핵발전소 건설을 금지한 이후 처음으로 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갖는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고르 장관은 “현재 SMR과 같은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며 “하지만 잠재력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이 기술을 실현하는 것이 덴마크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덴마크의 전 총리 안데르스 포그 라스무센도 14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터무니없는 원자력 금지령 해제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풍력과 태양광은 바람과 햇빛만 있다면 좋지만, 화석 연료가 아닌 기저부하가 있어야 한다”라며 “원자력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유럽에서 재생에너지가 가장 풍부한 국가 중 하나인 덴마크가 원자력 발전 금지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는 것은 중대한 정책 전환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평가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덴마크 전력의 80% 이상이 풍력, 바이오연료,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된다. 세계 최대 해상풍력 기업인 외르스테드(Ørsted)의 본거지도 덴마크다.

사진설명

덴마크에 앞서 다른 유럽 국가들도 기존 탈원전 정책에서 ‘유턴’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영국, 프랑스, 벨기에는 경제의 탈탄소화를 위한 저탄소 전기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원자로의 수명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프랑스는 노후화된 원자력 발전소를 재건하기 위해 6개의 원자로를 더 건설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에는 플라망빌 3호 원자로를 전력망에 연결했다. 이는 25년 만에 원자력 발전소가 전력망에 처음 추가된 것이다.

영국은 잉글랜드 서머싯에 힌클리 포인트 C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다. 앞으로 몇 달 안에 SMR 원자로도 개발할 계획이다.

2022년 원자력 발전을 금지한 독일은 그해 러시아의 가스 수입이 중단돼 가스 발전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자 원자로 재가동 여부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반핵 성향이 강한 스페인은 지난달 대규모 정전 사고 후 향후 10년 이내에 7개의 원자로를 폐쇄한다는 계획을 재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도 지난 3월 원자력 기술의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을 승인한 바 있다.

유럽 각국에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진 이유는 향후 수십 년 동안 이뤄질 교통, 산업, 가정 난방의 탈탄소화를 위해 저탄소 전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가디언은 분석했다.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이 에너지 소모가 많은 자사 데이터 센터에 24시간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SMR 원자로 사용에 관심을 보이며 지원을 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끼쳤다.

SMR은 공장에서 제작하고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기존 대형 원전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건설 기간이 단축된다는 점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