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헬스케어, 일본법인 설립 완료…해외공략 속도

4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일본 법인 'KHC Japan'을 설립하고 이진호 법인장을 선임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일본 시장에서의 첫 번째 전략으로 AI 기반 건강관리 솔루션 '파스타'를 현지화하고, 다이어트 시장을 겨냥한 체중관리 서비스 '피노어트'도 추진할 예정이다.

대표는 한국에서 검증된 서비스를 바탕으로 일본 소비자에게 맞춤형 혈당 관리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혈당관리 솔루션 ‘파스타’
9월부터 현지 서비스 제공

사진설명

카카오헬스케어가 일본 법인을 설립하고 해외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일본 법인 ‘KHC Japan’을 설립하고 이진호 전 제이팩스 대표를 법인장으로 선임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법인장은 일본 와세다대학교 상학부를 졸업하고 효성, 사이버드코리아, 글로벌택스프리 등을 거친 인물이다.

지난 30년간 일본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분야와 IT(정보통신) 산업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카카오헬스케어는 현지 사업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진을 비롯한 영업∙마케팅, 기획, 개발 분야의 인재도 채용하고 있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일본 시장 진출은 카카오헬스케어의 글로벌 시장 진출의 첫걸음으로 한국에서 검증된 서비스 경쟁력을 바탕으로 일본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혈당 관리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 개선하고 현지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설립 초기부터 일본, 중동, 미국 등 해외시장 개척을 모색해왔다. 그중 첫번째 진출국으로는 일본을 택했다. 국제당뇨연맹(IDF)에 따르면 2021년 일본의 당뇨병 환자는 우리나라의 2배 수준인 약 1100만명이다. 당뇨병 전단계는 약 2000만명으로, 혁신적 바이오센서와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태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먼저 AI(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건강관리 솔루션인 ‘파스타’로 일본 시장을 공략한다. 지난해 2월 출시된 파스타는 1년여간 혈당관리 솔루션으로 전문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일반 소비자뿐 아니라 병원, 검진센터,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사업도 추진한다. 이달 초 출시한 체중관리 서비스 ‘피노어트’로는 다이어트 시장까지 공략할 방침이다.

현재 카카오헬스케어는 일본 이용자의 특성과 문화적 환경을 반영해 파스타를 현지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일본 시장에 맞는 건강 콘텐츠를 개발하고 음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을 고도화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일본어 버전 파스타는 오는 8월까지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9월 중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