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부메랑…美 '역성장 쇼크'

2 days ago 8

미국 경제가 올해 1분기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후 강행한 각종 관세 정책이 경제에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트럼프 관세 부메랑…美 '역성장 쇼크'

미 상무부는 30일 1분기 경제성장률(속보치)이 -0.3%(전분기 대비 연율 기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 로이터, 팩트셋 등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0.3~0.8%보다 한참 낮은 수치다. 미국 경제가 뒷걸음질 친 것은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이다. 미국 경제는 작년만 해도 1분기 1.6% 성장에 이어 2분기 3.0%, 3분기 3.1%, 4분기 2.4%로 성장 가도를 달렸다.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이 성장 정체에 빠진 상황에도 미국 경제는 ‘나홀로 성장’을 했다.

올 들어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트럼프 관세’ 여파가 컸다. 지난 2, 3월 철강·알루미늄 관세, 대중국 관세에 이어 4월 자동차 관세와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기업들이 사전에 재고를 쌓기 위해 수입을 늘린 게 마이너스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전날 발표된 미국의 3월 상품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9.6% 급증한 1620억달러로 사상 최대였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따른 파급효과가 처음으로 나타난 사례”라고 했다.

고용 둔화 조짐도 뚜렷하다. 미 노동부가 집계한 지난달 구인 건수는 719만2000건으로 6개월 만에 최소치를 찍었다. 관세 부과가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에 소비심리도 위축됐다. 미 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한 4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전월 대비 7.9포인트 낮은 86.0으로 5개월 연속 하락세가 이어졌다. 2020년 5월(85.9) 후 최저치다. 기업들도 관세 불확실성을 이유로 잇달아 실적 전망 자체를 취소하는 등 경기 침체 신호가 커졌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100일께 맞는 첫 성적표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비판 여론이 커질 전망이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