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로 이런 요지경이”…갤럭시 매출 급등하고 디트로이트는 분노

1 day ago 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침내 주요국을 상대로 새롭게 조정된 관세율을 알리면서 미국 경제에 기념비적인 고율의 관세 체제를 완성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CNN 등 현지 유력 매체들은 이 역사적인 변화가 실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이 전례 없는 변화를 둘러싼 시장의 다양한 반응을 소개한다.

■생큐 트럼프···애플·삼성 스마트폰 사업 어닝 서프라이즈

31일(현지시간) 애플이 어닝 서프라이즈에 해당하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9.6%’의 매출 성장 중 1%포인트가 트럼프 관세 효과라고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관세로 아이폰 가격이 오를까 봐 미리 구매하려는 수요가 몰리면서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이는 아이폰의 중국 내 판매량 개선하고도 연관이 있다. 중국 내 판매 부진에 시달렸던 아이폰이 2분기 중국 시장에서 인기를 끈 것은 단연 트럼프 관세가 중국에 가장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중국 소비자들의 ‘조바심’을 자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도 31일 내놓은 2분기 실적에서 스마트폰 사업을 관장하는 MX 부문에서 어닝 서프라이즈(매출 2조2000억원→3조1000억원)를 보여줬는데 아이폰처럼 소비자 선구매 행보가 S25 등 주력 모델에 몰린 것으로 보인다.

■‘디트로이트의 분노’ 유발하는 트럼프 관세의 역설

월스트리트저널은 31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연합(E))과 일본, 한국과 마무리한 관세 협상에 대해 미국 제조업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디트로이트(자동차 산업을 의미)가 역설적으로 가장 충격을 받게 됐다고 조명했다. 새 협정을 보면 일본의 도요타와 독일 폭스바겐 뿐 아니라 한국에서 저가의 쉐보레 차량을 생산하는 GM에 이르기까지 해외 경쟁사와 공장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토종 완성차 업체들의 목소리를 인용해 “경쟁의 평준화를 위해 기대했던 자동차 관세는 15%로 낮아졌고 이는 해외 경쟁사들이 미국으로 생산을 옮기도록 동기를 부여하기에 너무 낮아진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철강·알루미늄에서 50%의 고율 품목 관세를 적용한 결과 완성차 업체인 포드의 경우 인기 픽업트럭인 F-150에 투입되는 알루미늄 부품 비용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지적이다. 포드 측은 “일본과 한국은 인건비, 자재, 환율에서 실질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라며 “반면 우리는 부품과 철강, 알루미늄 등에 대한 여러 품목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내 생산 비용이 늘게 됐고 그 부담이 수십억 달러”라고 하소연했다.

전미자동차노조(UAW)도 월스트리트저널에 “15%(로 낮아진) 일률적 관세로는 미국 내에서 숙련된 노조 노동력을 바탕으로 미국 내 제조를 달성할 수 없다”고 트럼프 행정부를 비판했다.

포드는 자사의 대표 SUV인 ‘이스케이프’ 제작 비용이 일본에서 도요타가 만드는 ‘RAV4’ 생산비용 대비 5000달러(700만원) 더 든다고 주장했다.

■35% 관세율에 애써 태연한 캐나다···“영향 크지 않아”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35% 고율 관세가 결정된 캐나다는 실제 캐나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평가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합의한 무역협정(USMCA)의 원산지 규정에 따라 양국 교역 상품 대부분이 관세 면제 품목이 된다는 주장이다. 캐나다산 에너지의 100%,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의 95%가 면제된다는 설명이다. 면제되지 않는 5%에 해당하는 품목을 수출하는 기업들도 앞으로 원산지 규정을 충족하는 서류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35%의 포괄 관세가 아닌 50%의 철강·알루미늄 품목관세, 그리고 25%의 자동차 부품 관세가 캐나다 경제에 더 큰 충격이라는 게 캐나다 경제 전문가들의 평가다.

■트럼프 관세 무력화 열쇠 쥔 美 항소법원, ‘대통령 권한 남용’에 무게 두나

트럼프 상호 관세가 “멍청한 짓”이라고 날 선 비판을 해왔던 보수 경제 매체 월스트리트저널은 31일(현지시간) 편집위원회 사설에서 이날 미국 연방 항소법원에서 진행된 트럼프 관세 무효화를 위한 법정 변론 상황을 조명했다.

앞서 1심 법원은 지난 5월 트럼프가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권한 없이 관세를 부과했다는 원고 측 주장을 인용해 트럼프 상호관세 발동을 무효로 했다. 이후 항소법원은 최종 판단을 내릴 때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행정명령 효력을 존속시킨 상태로 이날 첫 변론을 열었다.

티머시 다이크 판사는 이날 “의회가 IEEPA 제정 과정에서 기존 관세 체계를 뒤엎고 대통령에게 마음대로 관세율을 수정하도록 권한을 줄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해당 사설에서 항소법원 재판관들이 IEEPA 사용을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질문을 던진 점을 조명하며 “원고인 소기업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대통령은 왕이 아니다(President isn’t a king)”라고 꼬집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