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e스포츠협회는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게임특별위원회장에게 '한국 e스포츠 중장기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전달했다고 13일 밝혔다.
협회는 e스포츠 산업이 당면한 여러가지 한계를 타파하고 자체 생존 동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프로팀, 선수, 종목사, 생태계 등 주요 구성원들간 산업 가치사슬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협회는 △산업규모 중 40% 이상 차지하는 프로팀의 투입 예산(지출) △빈약한 산업 매출 구조 △높은 종목사 투자 의존도 △부족한 경기 인프라 시설 △선수 직업 안정성 확보 및 선수 권익 보호 필요 △글로벌 경쟁력 약화 및 신규종목 필요성 대두 등 e스포츠 주요 구성원들이 당면한 현실적 문제를 설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계산업 육성, 선수 보호 체계 수립, 새로운 성장동력 및 국제 경쟁력 확보 등을 정책 공약으로 요청했다.
구체적으로는 △e스포츠산업지원센터 기능 확장 △e스포츠 외연 확장을 위한 연계 산업 육성 △체육진흥투표권 e스포츠 신규 종목 도입 △K-컬쳐 융합형 복합문화시설 건립 △학생선수 체계 마련 및 상무팀 창단 △e스포츠 참여자 보호체계 강화 △국제경기대회에 국산 e스포츠 종목 채택 촉진 등을 정책을 제안했다.
김영만 한국e스포츠협회장은 “현재 우리나라 e스포츠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거세지는 글로벌 경쟁 속 우리나라가 계속 e스포츠 주도국으로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더민주 게임특위에 실질적이고 전방위적인 e스포츠 진흥 정책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강유정 위원장은 “e스포츠 산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 불균형적인 구조 해소와 국제 경쟁력 강화, 학교 e스포츠 진입 등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한다”며 “e스포츠가 자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박정은 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