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페업계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우는 식당부터 특급 호텔 뷔페까지 모두 인기다. 외식 물가가 급등하자 한 번 식당에 갔을 때 여러 음식을 한꺼번에 맛보려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 등이 나온다.
◇호텔 뷔페 일제히 매출 상승
4일 요식업계에 따르면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이끄는 한화푸드테크는 새로운 뷔페 브랜드를 출시하는 방안을 짜고 있다. 신규 브랜드를 앞세워 더현대서울 등에 입점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한화푸드테크가 새로운 브랜드 출시 카테고리로 뷔페를 점찍은 것은 최근 선보인 ‘63뷔페 파빌리온 용산’의 선전 덕분이다. 한화푸드테크는 63스퀘어에서만 운영하던 뷔페 음식점 ‘파빌리온’을 지난해 말 아이파크 용산점에 개점했다. 성인 기준 평일 저녁·주말 이용료가 9만9000~10만9000원으로 저렴하진 않지만 ‘여러 고품질 식재료를 합리적 가격에 맛볼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개점 한 달 만에 1만 명을 끌어모았다.
한화뿐 아니다. 소비 둔화 기조로 파인다이닝마저 침체를 면하지 못하지만 서울 시내 주요 호텔 뷔페만큼은 매출이 일제히 늘었다. 그랜드조선호텔의 뷔페 아리아는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6.4% 급증했다. 조선호텔 관계자는 “통상 뷔페 성수기는 4분기지만 최근엔 설 연휴나 입학·졸업식 시즌인 1분기에도 가족 모임을 위해 호텔 뷔페를 찾는 방문객이 많다”고 했다. 성인 기준 평일 저녁·주말 이용료가 16만~19만원이 넘는 더플라자호텔 세븐스퀘어와 호텔롯데 라세느도 1분기 매출이 각각 11%, 6% 증가했다.
◇가성비 뷔페도 역대 최대 기록
저가를 강조하는 가성비 뷔페도 문전성시를 이룬다. 애슐리퀸즈, 로운샤브샤브, 피자몰 등 1만~3만원대(저녁·주말 이용료 기준) 가성비 뷔페 매장을 운영하는 이랜드이츠는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4706억원)을 올렸다. 전년보다 32.4% 급증했다. 지난해에만 애슐리퀸즈 매장 33곳을 추가로 열고, 로운샤브샤브가 역대 최대 방문객을 기록한 영향이다. 올해 이랜드이츠는 작년보다 50% 많은 매출 7000억원 달성을 노리고 있다.
뷔페업계 호황은 외식업 침체를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농림부에 따르면 올 1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는 70.76으로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2021년 1분기(66.01) 이후 가장 낮았다. 통상 1분기엔 연초 소비 진작 효과 덕분에 전 분기보다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에는 직전 분기보다 하락했다.
그 속에서도 저가·고가 뷔페가 함께 살아남은 것은 ‘가심비’ 덕분이란 분석이 나온다. 같은 값에 여러 메뉴를 경험할 수 있는 뷔페의 강점이 가성비를 강조하는 사람뿐 아니라 고급 외식 수요에도 반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김영갑 한양사이버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발간된 ‘2025년 외식산업경기동향 보고서’에서 “소비자들이 ‘가격 대비 만족도’를 중시하는 소비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