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는 요동 정벌에 반대하며 그 유명한 ‘사불가론’을 들었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슬러서는 안 되고, 여름에 군사를 내는 것이 불가하며, 빈틈을 노려 왜구가 침략할 것이며, 덥고 비가 와 활이 망가지고 전염병이 돌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우왕은 이성계의 말에 흔들렸으나 최영이 다시 우왕의 마음을 다잡았다. 이성계가 다시 진언하자 우왕은 반대하다가 죽임을 당한 신하를 들먹이며 이성계를 압박했다.
결국 1388년 음력 4월 18일 약 4만 명의 군이 서경에서 요동을 향해 출전했다. 최영이 팔도도통사로 최고 지휘관이었는데, 우왕이 그를 떼어놓을 수 없다 하여 최영은 군대를 따라갈 수가 없었다. 이것은 최영의 크나큰 실책이었다. 좌군은 조민수가, 우군은 이성계가 맡았다. 조민수는 고려의 권신이었던 이인임의 친척으로 최영과 가깝다 할 수 있었지만 이성계는 줄곧 전쟁을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참전이 결정됐다.
조민수의 좌군은 고려 전체에서 뽑아 올렸는데, 이성계의 우군은 이성계의 부하들로 구성돼 있었다. 이성계의 군대는 고려 최강이었다. 최영은 명나라와 전쟁을 해 이성계 군을 와해시킬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최영은 출정 장군들의 처자를 감금할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성계가 신속하게 돌아오는 바람에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이성계 역시 그대로 강을 건너 명나라와 싸우다 죽을 것인지, 군대를 돌려 최영과 결전을 겨룰 것인지 결정해야만 했다.최영은 국가에 세운 공이 막대하고 그 스스로 청렴결백해 흠을 찾기 어려운 인물이었다. 이 때문에 최영을 적으로 내세우기가 쉽지 않았다. 그렇다 해도 명나라와 전쟁을 하겠다는 것은 너무나 위험한 일이었다. 결국 최영과 같은 편이었던 조민수가 이성계의 설득에 넘어갔다. 좌군, 우군 가릴 것 없이 군의 인심 역시 이성계 편이었다. 조민수와 이성계는 압록강 안에 있는 위화도에 도착한 뒤 두 차례나 회군을 요청했다. 물론 최영은 모두 거절했다. 이에 이성계는 회군했다. 이것이 그 유명한 ‘위화도 회군’이다.
이성계는 회군 후 최영을 체포해 유배 보내고 우왕을 폐위시키는 등 거침없이 권력을 행사했다. 하지만 다음 왕을 옹립할 때는 조민수에게 밀려 창왕을 세울 수밖에 없었다. 최영을 제거했다고 안심했다가 조민수라는 암초를 만난 격이었다. 회군 때 벌써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성계는 서두르지 않았다. 회군 후 4년에 걸쳐 고려의 낡은 제도를 개혁해 새 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뒤 왕위에 올랐다. 위태로울수록 치밀하게 일을 진행해야 성공할 수 있다.
이문영 역사작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