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뒤 수도권 입주 물량 '10만' 가구뿐…"8월 공급대책 분수령"

2 days ago 3

7일 서울 종로구 한 건물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사진=임형택기자

7일 서울 종로구 한 건물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사진=임형택기자

수도권 입주 예정 물량이 2년 뒤 10만가구대로 감소할 전망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정부가 현실적인 공급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임대 포함 총가구 수 기준)은 올해 14만5237가구에서 내년 11만1470가구, 2027년 10만5100가구로 감소한다.

서울의 경우 올해 4만6767가구에서 내년 2만8355가구, 내후년 8803가구로 급감할 예정이다. 경기는 7만5868가구에서 6만6013가구로 줄었다가 2027년에는 8만909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은 2만2602가구에서 1만7102가구, 1만5388가구로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조만간 발표할 공급 대책은 시장 안정성과 체감 가능성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관측된다. 2020년 '8·4대책'(26만2000가구), 2021년 '2·4대책'(83만가구), 2022년 '8·16대책'(270만가구), 지난해 '8·8대책'(72만7000가구) 등으로 이어진 연장선상인 것.

가장 빠르게 공급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으로는 8·4대책의 주요 과제였던 도심 내 유휴 부지 활용, 고밀 개발, 공공 정비사업 활성화가 꼽힌다. 서울시는 지난달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 사업 기간을 평균 18.5년에서 13년으로 5.5년 단축하는 공급 촉진 방안을 발표하는 등 공급 속도전에 주력하고 있다.

부동산R114는 "지방은 수요 위축과 미분양 심화가 이어지고 있지만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는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집값 안정을 위한 현실적인 공급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도심 공급 확대 사업이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착공에서 입주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단기 공급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며 "그동안 다양한 공급 대책이 남긴 '계획과 실행의 간극'을 극복할 수 있을지가 조만간 발표될 새 대책의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라고 진단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