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로 경매 시장도 '냉각'…낙찰가율 떨어져

2 days ago 4

입력2025.08.07 14:25 수정2025.08.07 14:25

서울 아파트 경매 지표

서울 아파트 경매 지표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방안'(6·27 부동산 대책) 시행 후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의 열기가 식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 상승세는 3개월 만에 꺾였고, 응찰자 수도 감소하는 추세다.

경·공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7일 발표한 '7월 경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95.7%로 전달보다 2.8%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4월부터 줄곧 오르던 낙찰가율이 하락 전환한 것으로, 2월(91.8%) 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도권 주택의 경락 자금 대출도 주택담보대출과 동일하게 최대 6억원 한도, 6개월 내 전입 의무 등의 규제를 받으면서 경매시장도 움츠러든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평균 응찰자 수는 7.8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1월(7.0명) 후 6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낙찰률(경매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43.4%로, 전달보다 3.1%포인트 하락했다.

경기, 인천 등도 비슷한 상황이다. 경기 아파트의 7월 낙찰가율은 전달보다 2.0%포인트 내린 87.7%로 나타났다. 감정가 10억원 이상 아파트의 낙찰가율(91.5%)이 전달(99.6%)보다 8.1%포인트 급락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달보다 1.8명이 감소한 9.3명으로 집계됐다. 인천 아파트의 7월 낙찰가율은 77.3%로 전달보다 1.7%포인트 내렸다. 평균 응찰자 수는 6.9명으로 0.6명 줄었다.

전국 아파트 경매 지표

전국 아파트 경매 지표

전국적으로도 경매시장은 냉각되는 분위기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85.9%로 전달(87.6%)보다 1.7%포인트 하락했다. 3개월간 유지되던 87% 선이 무너졌다. 낙찰률은 39.9%로 전달(42.7%)보다 2.8%포인트 내렸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