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가 국내에서 77년 만에 확인됐다.
17일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지난해 7월 한라산 북쪽에서 어린 검독수리가 구조된 사건과 주민들의 목격을 계기로 조사를 벌인 결과, 한라산 북쪽 절벽에서 지름 약 2m, 높이 약 1.5m 규모의 둥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생태원 연구진은 지난 5월 망원렌즈를 활용해 약 200m 떨어진 지점에서 둥지에 자리한 검독수리 한 쌍과 새끼 한 마리를 포착했다. 검독수리 가족은 지난 7월 다른 둥지로 옮겨간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에서 검독수리의 둥지와 새끼가 함께 발견된 것은 1948년 미군 장교가 경기 남양주시 예봉산과 천마산에서 확인한 사례 이후 77년 만에 처음이다.
검독수리는 보통 넓은 구역에 여러 둥지를 번갈아 사용하지만, 번식지는 쉽게 바꾸지 않는 습성이 있다. 이번에 확인된 둥지 역시 앞으로도 번식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태원은 설명했다.
발견된 성체는 6세 이상으로 추정되며, 새끼의 성별은 확인되지 않았다. 둥지는 마른 나뭇가지를 얹고, 내부에 마른 풀잎과 푸른 솔가지를 깔아 만든 것으로 조사됐다.
검독수리는 날개 길이가 2m를 훌쩍 넘는 대형 맹금류로, 유럽·아시아·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전역에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주로 겨울철 산과 습지 주변에서 드물게 관찰돼 왔다.
사슴·토끼·고라니 같은 포유류와 오리·꿩 같은 조류를 사냥하며, 먹이가 부족할 때는 사체도 먹는다. 보통 1∼2월 사이 1∼4개의 알을 낳고, 약 45일간 품은 뒤 70∼100일간 새끼를 기른다.
검독수리는 1973년 천연기념물로, 2012년에는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됐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가 확인된 것은 학술적·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다”며 “제주도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서식지 보호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