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의 화재 속 살아남은 '안동 광흥사 응진전' 보물 된다

1 week ago 738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사찰 운영의 변화를 보여주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이 보물이 된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안동 광흥사 응진전’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3일 밝혔다.

안동 광흥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전기에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뤄졌던 안동 지역의 유서 깊은 사찰이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은 창건연대가 명확하지 않으나, 망와(지붕 마루 끝에 세우는 암막새 기와)에 기록된 글을 통해 1647년(인조 25년) 기와 공사를 한 사실을 알 수 있어 그 이전인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827년과 1946년 사찰의 큰 화재로 주(主)불전이었던 대웅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됐다. 그러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어 화를 면했고, 이후 사실상 광흥사의 중심 불전 기능을 수행해왔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 공포 정면. (사진=국가유산청)

건축적 특징을 살펴보면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구성돼 있다. 건물 정면의 공포(기둥머리에 나무를 짜 맞추어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구조부재)는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다포계로 화려하게 조성했다.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꽃문양이 그려진 화반(기둥 사이에 설치된 수평부재 위에 상부 무게를 받치기 위해 둔 넓은 판재)으로 장식해 정면을 강조했다.

특히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의 양식을 계승하여 중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잘 보여줘 학술적 가치가 높다.

응진전에 봉안돼 있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은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예술성이 높은 작품이다. 총 42구로 일반적인 사례에 비해 그 수가 많고 배치가 특이해 학술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안동 광흥사 응진전’에 대해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 화반 및 포벽화. (사진=국가유산청)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