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금융당국이 SK텔레콤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대응본부를 구성하고, 해킹 등에 대비한 금융 인프라 기관의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 |
30일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신용정보원 및 유관협회 등과 함께 ‘SKT 유심정보 유출 사고 관련 금융 유관기관 점검 회의’를 열었다.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유심 정보유출 사고로 인해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에 대한 금융소비자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회의 참석자들은 금융권 대응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들은 우선 현재 부정 인증 등 관련한 특이 징후는 포착되지 않고 있으며, 기관별로 사고 예방을 위한 보안조치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향후 사고 가능성에 대비해 상시적인 대응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는 점에 뜻을 함께 하며 부정 인증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회사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강화해야 하고, 특히 징후 발생 시 신속한 정보공유를 통한 체계적인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금감원은 “유관기관·금융협회 등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금융권 대응 현황 및 이슈를 신속히 파악하는 한편, 부정·사기거래 등의 금융사고에 대비해 사고보고체계를 강화하고 일일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금융사고 전담 신고센터 운영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학 있다”고 밝혔다.
금융보안원은 “이상금융거래에 대해 금융권의 집중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관련 정보를 금융회사에 신속히 공유 및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신용정보원은 “SKT 해킹사고에 따른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안심차단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홍보해 나가는 한편, 안심차단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결제원은 “오픈뱅킹 등 대국민 생활과 밀접한 금융 서비스에 대해 선제적 점검 후 보안 조치를 적용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보안 현황을 점검하여 고객 피해 방지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했다.
각 금융협회에서는 “현재 부정 인증 증가와 같은 징후는 포착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으며, 금융권에서는 “기기정보 변경 고객에 대한 추가 인증이나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등을 통한 모니터링 강화 등과 같은 추가 조치를 실시하고 있으며, 유관기관과 협조를 통해 철저한 사고 예방체계를 구축·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사무처장은 “SKT 해킹 사고가 금융 보안 사고로 이어질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며 종합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권 사무처장은 우선 대응현황 공유 및 신속 연락체계 구축을 위한 비상대응본부를 구성·운영해 일단위로 금융권 대응 현황 및 특이 사항을 보고하도록 했다.
또 금융권에 금감원, 금보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피해 예방을 위한 보안 유의사항을 철저히 준수하고 노령층 등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대응할 것을 지시했다.
끝으로 금융결제원, 신용정보원 등 금융 인프라 기관은 해킹 등에 대비해 상시 보안점검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당부했다.
권 사무처장은 회의를 마무리하며 “국민이 모두 안심하고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 유관기관, 금융기관이 높은 경계심을 갖고 모두 합심해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