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아들’ 이재명 ‘尹과 이격’ 김문수…타깃은 중도층

6 hours ago 1

“재맹이가 남이가” 이재명 이틀째 영남 집중…보수 인사 영입
지각 출발한 김문수 ‘지지층 결집+중도층 공략’ 투트랙 전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왼쪽),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 대구 서문시장에서 각각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5.5.12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왼쪽),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 대구 서문시장에서 각각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5.5.12 뉴스1
6·3 조기대선이 2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양당은 중도·무당층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경북의 아들 이재명”이라고 호소하며, 이틀째 대구·경북·부산·경남 등 보수 지지 기반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공략을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대통령 후보 강제 교체 파동으로 지지층 이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두고 고민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14일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12~13일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에게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중도층에서 이재명 후보는 56%의 지지를 얻었고, 김문수 후보는 22%로 격차가 34%포인트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중도층 탄핵 찬성 여론이 70%에 달했던 만큼, 정권 교체론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재맹이가 남이가”…중도·보수 공략하며 대북 문제도 거리두기

이 후보는 전날 경북 구미·대구·경북 포항·울산에 이어 이날도 부산·경남 창원·통영·거제를 찾는 등 유세 초반 영남권 중심 행보를 이어갔다. 전날 구미역 유세에서 “‘재맹이가 남이가’ 이렇게 이야기 좀 해달라”고 지지를 호소했고, 대구 동성로 집중유세에서도 “김대중 정책이면 어떻고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냐”고 말했다.

이 후보가 유세 초반 보수 텃밭인 영남권에 집중적으로 공을 들이는 것은 외연 확장을 통해 통합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 민주당 관계자는 “영남을 기반으로 한 정당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중도 확장 전략 이른바 동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도층 공략의 또다른 핵심 축은 인사다. 그 중 대표적인 인사는 중앙선대위 상임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한 ‘보수 책사’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다. 경북 안동 3선의 권오을 전 한나라당 의원, 경북 칠곡 3선의 이인기 전 한나라당 의원, 이명박(MB) 정부 인사 이석연 전 법제처장 등도 공동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북 문제와 관련해 일정 부분 거리두기를 하는 것도 중도 확장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 후보의 10대 공약에는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 한미동맹 기반 하의 전시작전권 환수 추진 정도만 포함됐고 유세 현장에서도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

박정희 강조하고 영남 돌며 지지층 잡기…계엄 사과로 외연 확장

반면 열세 국면인 김문수 후보는 ‘지지층 결집+중도층 공략’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부터 사흘 연속 대구와 부산 등 영남권 중심의 유세를 이어가며 지지세를 다지기 위한 행보를 보였다.

박정희 리더십도 강조했다.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에서는 “박 전 대통령 묘소에 침을 뱉던 제가 당신의 무덤에 꽃을 바친다”고 언급했고,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은 훌륭한 과학자를 찾아 포스코, 자동차, 조선, K-방산을 확실히 밀어줬다”며 우주항공산업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선거운동을 늦게 시작한 데다, 강제 후보 교체 파동으로 영남권에서도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다. 이에 김 후보는 지지층 결집을 최우선으로 하고, 이후 중도층을 겨냥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김 후보는 계엄 사태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하며 변화된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지난 12일 대구 유세 직후 “계엄으로 고통을 겪는 국민에게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한 바 있다.

이튿날에는 윤 전 대통령 출당에 대해 “현재 생각해 본 적 없다. 도리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14일에는 윤 전 대통령 자진 탈당설에 대해 “대통령이 잘 판단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하는 것이 옳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용태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 출당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당내의 컨센서스를 도출해 국민 상식에 맞는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선대위 핵심 관계자 역시 통화에서 “계엄에 대해 대국민 사과하고, 탄핵 반대에 대한 사과도 해야 한다. 윤 전 대통령도 출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과의 완전한 결별 없이는 중도층 표심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 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정무적으로 판단할 시간을 충분히 갖고 있다”는 얘기가 나왔다.

비대위원장 지명 후 첫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계엄은 잘못됐다. 뼈아프게 반성한다”고 사과를 한 김 의원은 전방위적인 통합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채상병 묘역을 참배한 데 이어 서울 보라매공원에 위치한 산업재해 희생자 위령탑을 방문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