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10.9m 사경, 모두 갖춘 완질본
시왕도는 日경매시장서 낙찰받아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8일 오전 두 문화유산을 공개하고 “고려시대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와 조선 전기 ‘시왕도’를 협상과 경매 등을 거쳐 환수했다”고 밝혔다.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감색 종이에 금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옮겨 쓴 사경이다. 사경이 갖춰야 할 구성을 빠짐없이 갖춘 완질본으로, 두루마리를 펼쳤을 때 가로 길이가 10.9m에 이른다. 발원문에는 1334년 정독만달아(鄭禿滿達兒·1290∼?)가 부모님과 황제의 은혜에 감사하며 발원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정독만달아는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로 건너가 관직에 오른 환관이다.
배영일 마곡사 성보박물관장은 “전문 사경승의 수준 높은 솜씨가 돋보이는 유물”이라며 “보물로 지정돼 있는 코리아나화장박물관 소장본(권15)과 발원문 내용이 일치해 동질본(同帙本)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경은 지난해 10월 고미술을 거래하는 일본인 소장자가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에 연락해 온 뒤 협상을 거쳐 가져오게 됐다.시왕도는 망자가 생전에 지은 죄를 심판하는 10명의 시왕을 모두 담고 있다. 현전하는 조선 전기 시왕도 가운데 10폭 구성을 온전히 갖춘 건 해당 작품과 일본 교토의 사찰인 호쇼지에 있는 것 등 2점뿐이다. 1980년대부터 존재가 알려졌던 개인 소장본으로, 재단이 2023년 일본 경매에 나온다는 정보를 입수해 낙찰받았다.
박은경 동아대 명예교수는 “조선 불화 중 드물게 고려 후기 불화의 표현 기법과 도상을 계승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며 “특히 제6 변성왕도는 연꽃이 만물을 탄생시킨다는 ‘연화화생’이 (지옥 장면에서) 등장하는 첫 사례”라고 했다.
이지윤 기자 leemail@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