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관세 우려 정점 통과했나…현대차·기아 웃을까

1 week ago 1

美, 자동차 부품 관세 2년간 완화
"車, 최악 상황 반영해 하락 중"
관세 우려 정점지나…한미 '車 관세 협상' 관건

  • 등록 2025-04-30 오후 4:56:02

    수정 2025-04-30 오후 4:56:02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에서 수입한 부품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들의 부품 관세 부담을 2년간 완화하면서 현대차(005380), 기아(000270)의 주가 흐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현대차와 기아의 실질적 관세 부담 완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미 주가가 최악의 상황을 반영한 만큼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현대차 기아 양재 본사.(사진=현대차그룹)

30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의 자동차 관세 완화 발표가 난 이후 첫 거래일 현대차는 전 거래일 대비 1.14% 하락한 19만 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기아는 전 거래일 대비 0.22% 약보합세를 나타내면서 9만 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현대차·기아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크게 관세 부담이 완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작용하면서 주가가 반응하지 않은 셈이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자동차를 미국에서 완성해 판매한 업체는 그 기록을 상무부에 제출하면 자동차 권장 소비자가격(MSRP)의 15%에 해당하는 금액의 ‘크레딧’(credit)을 받게 된다. 업체는 향후 자동차 부품을 수입할 때 이 크레딧만큼 부품 관세를 ‘상쇄’(offset)할 수 있다.

관세를 상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총 자동차 권장 소비자가격의 3.75%로 계산된다. 첫해에는 미국 내에서 생산·판매된 차량 가치의 3.75%만큼 관세 상쇄 효과를 볼 수 있고, 이듬해에는 2.5%까지만 면세 혜택을 받는다. 차례로 관세부담을 상향하면서 부품 생산을 미국 내로 이전하도록 압박한 것이다.

이는 그간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에 완전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호소해 이번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라고 상무부 고위 당국자는 전했다. 상무부 고위당국자는 “자동차 업계가 아무리 노력해도 자동차 부품의 15%는 미국에서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15%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러한 자동차 관세 완화의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4월 3일부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 관세는 오는 5월 3일부터 자동차부품으로 확대 적용하는 것은 유지되기 때문이다. 신윤철 키움증권 연구원은 “결과적으로 미국 내에서의 자동차 생산 확대를 유도해 온 백악관의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낮은 업체는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외에 뚜렷한 대안을 발굴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기준 미국 내 도매판매한 184만대 중 미국 내 생산한 71만대의 소비자가격의 15% 혹은 10%에 대해 관세 부담이 낮아진다. 다만 여전히 한국 내에서 완성차를 생산해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형태는 이번 완화 조치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약 101만대에 대해서는 관세 부담이 존재한다.

다만 이미 자동차 업종의 주가가 최악의 상황을 이미 반영해 하락한 만큼 반등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미 자동차 업체 주가들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하락해 있다”면서 “한국 수출 물량에 대해서는 관세가 상존하지만, 미국 내 생산 물량에 대한 관세 완화 조치로 기존 우려보다는 이익 감소폭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주가가 최악의 상황에서 일부 회복을 예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긍정적인 변수도 존재한다. 우리나라 정부와 미국 정부의 관세 협상이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24일 관세 관련 장관급 회담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앞으로 협상 테이블에 올려질 것으로 전망된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국 정부는 상호 관세와 자동차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폐지 또는 예외 적용 요청했다”며 “자동차 관세 우려는 정점을 통과했다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