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韓 담판 결렬··· 국민의힘 ‘내전’ 상태로

14 hours ago 2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
당 지도부, 당원대상 단일화 조사 강행
단일화 무산시 강제 후보교체도 검토중
권성동 “시간 없어··· 반드시 단일화”
김문수 측, 전당대회 금지 가처분 신청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의 단일화를 위한 회동이 결렬되면서 국민의힘은 사실상 ‘내전’에 돌입했다.

권영세·권성동 지도부는 당무우선권을 가진 대선 후보가 중단을 요청했던 당원 대상 ‘단일화 조사’를 강행했다. 김 후보측은 이날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 개최를 중단해달라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다. 당 지도부는 단일화 무산에 대비해 강제로 후보를 교체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후보와 한 예비후보가 이날 오후 직접 만나 단일화를 위한 담판을 벌였지만 예상대로 아무런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날 회동은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1시간15분 가량 진행됐다. 담판이 결렬된 후 김문수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한 예비후보가) 당이 하자는 대로 하겠다는 말만 반복 했고, 의미 있는 진척은 없었다.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이어 “다시 만날 필요가 있지 않겠냐고 물으니 만날 필요도 없다면서 당에 일임했고, 낮에 한 기자회견 내용이 전부라고 했다”면서 “11일까지 (단일화) 안하면 (후보)등록 안한다. 무소속 출마할 생각도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단일화를 압박하는 당 지도부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그는 “전혀 후보 등록할 생각이 없는 분을 누가 끌어냈나, 어떻게 후보 간에 만나서 대화하고 근접시킬 기회를 다 막아놓고 이렇게 하는 사람이 누구냐는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 후보 캠프의 이정현 대변인도 “특별하게 합의된 사안은 없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단일화 시한에 이견이 있었나’라는 질문에 “그런 내용 자체가 없었던 것 같다”고 답했다.

이제 공은 다시 지도부로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날 당원들을 상대로 ‘단일화 필요성’과 ‘단일화 시기’를 묻는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김 후보 측이 전날 밤 늦게 당무우선권을 거론하며 “불필요한 여론조사는 당의 화합을 해치는 행위로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냈지만 당 지도부가 밀어붙인 것이다.

이날 오전에도 국민의힘은 의원총회를 열고 단일화를 주제로 난상토론을 벌였다. 김 후보는 참석하지 않았다. 비공개 전환에 앞서 권성동 원내대표는 “대선에서 패배하고 대통령 재의요구권이란 최후의 장치마저 잃어버린다면 이재명 독재는 막을 길이 전혀 없게 된다”면서 “더는 시간이 없다 오늘 반드시 단일화 일정을 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일화는 김문수 후보가 국민과 한 약속이고, 단일화 논란이 장기화 될수록 실망과 피로만 가중시킨다”고 했다.

당 지도부는 후보 교체를 밀어부칠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복수의 중진 의원에 따르면 김 후보와 한 예비후보의 회동 이후로도 단일화가 진행되지 않으면 8일부터 여론조사를 통해 강제로 단일화를 진행하고 후보를 교체하기 위한 ‘플랜 B’를 가동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플랜 B’가 당헌당규상 가능한 것이냐는 논란이 벌어질 전망이다. 당 지도부 측에서는 국민의힘 당헌 74조의2에 따라 대통령 후보자 선출과 관련해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는 대통령후보자선거관리위원회가 심의하고 비상대책위원회의 의결로 후보 교체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나경원 의원은 “당헌당규상 후보 교체는 불가능하다”면서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후보를 마음대로 교체하는 것은 공당의 모습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날 김 후보를 지지하는 국민의힘 원외 당협위원장들은 당 지도부가 공고한 8~9일 전국위원회와 10~11일 전당대회 소집을 중단해달라는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했다. 이들은 “절차적 정당성과 민주주의 원칙을 명백히 훼손하며 무리하게 소집된 전국위원회 및 전당대회의 개최를 즉각 중단해 달라는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국민의힘은 해당 전국위와 전당대회를 개최할 수 없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와 단일화 경선을 실시해 한 후보로 당 후보가 교체될 경우를 대비해 전국위와 전당대회 소집 공고를 해놓은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김 후보 측 박계동 전 의원은 “당이 후보를 배제하고 전국위원회, 전당대회를 개최한다고 하니 후보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온 것이지, (김 후보가) 단일화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었다”며 “김 후보와 한덕수 후보가 사전에 의견을 주고 받고 있었다. 그동안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했기 때문에 오늘 회동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김 후보 측이 전날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에게 후보 단일화를 위한 ‘원샷 경선’ 가능성을 타진했다가 거절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를 주축으로 한 빅텐트를 꾸리려 시도했으나 불발된 것이다.

한편 한국갤럽이 뉴스1 의뢰로 지난 4~5일 10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후보 단일화 선호도는 김 후보가 38%, 한 후보 37%로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 정당별로 봤을 땐 선호도가 엇갈렸다. 국민의힘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김문수 후보 31%, 한덕수 후보 65%로 나타났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는 김 후보 45%, 한 후보 19%로 결과가 갈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