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해군과 방위사업청은 울산 HD현대중공업에서 다산정약용함 진수식을 거행했다
■ 다산정약용함, 기존 이지스함과 무엇이 다른가
스텔스 설계가 강화됐고, 국내에서 설계·건조된 최신예 전투함으로 2021년 건조계약 체결 후 착공(2023년 7월), 기공(2024년 3월)을 거쳐 이날 진수식이 열렸다.
■ 탄도탄 요격 능력은 어떻게 향상됐나
최신 이지스 전투체계 ‘베이스라인 KII’를 탑재해 세종대왕급보다 탐지·추적 능력이 2배 이상 향상됐다. 또 탄도탄 요격 능력이 추가돼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력이 강화됐다.
무장 또한 대폭 증가됐다. MK41 수직발사체계(VLS)와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Ⅰ·Ⅱ)를 혼합 탑재해 향후 장거리 함대공유도탄(SM-3·SM-6)과 함대지탄도유도탄을 운용할 수 있다. 주요 전략 표적에 대한 원거리 대공·대지타격 능력과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능력까지 갖췄다. ■ 잠수함 탐지·공격 능력은 어떻게 달라졌나특히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첨단 통합소나체계(ISS)를 탑재해 적 잠수함 및 어뢰 등 수중 위협에 대한 탐지능력이 크게 향상됐다. KVLS-Ⅰ에 탑재해 운용하는 장거리대잠어뢰(홍상어)와 경어뢰(청상어)를 활용한 대잠전이 가능하며 최근 해군이 도입한 MH-60R(시호크) 해상작전헬기를 탑재하면서 적 잠수함에 대한 공격력을 한층 강화했다.
추진체계는 기존 세종대왕급 가스터빈 엔진 4기에 추진전동기 2기를 더한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HED) 방식이다. 저속 항해 시 연료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수중 방사소음을 줄여 적 잠수함에 대한 생존성을 높였다.
■ 언제 전력화돼 해군에 배치되나
우리 해군의 5번째 이지스함인 다산정약용함은 시운전을 거쳐 2026년 말 해군에 인도된다. 이후 전력화 과정을 마치면 기동함대사령부에 배치돼 실전 임무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날 진수식에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을 비롯해 강동길 해군참모총장, 방위사업청·방산업계 관계자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최재호 기자 cjh1225@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